학술논문
상태학업착수지연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te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Scale (SAIP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아(Jung Ah Choi) 양지연(Ji-Yeon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업지연에 대한 개입을 염두에 둔 척도를 개발하고자, 첫째, 개입 전후 개선 여부 포착이 용이하도록 만성 수준이 아닌 상태 수준으로 척도를 개발하였고, 둘째, 개선하고자 하는 학업지연에 대해, 학업지연 정의의 고유한 특성인 ‘공부를 시작하기로 한 것을 미루는 현상 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고’,상태학업착 수지연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상태학업착수지연 척도를 제작하고, 추정표본(1차 자료에서 무작위 추출된 41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로부터 주요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3개의 검증표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개발된 상태학업착수지연척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추정표본으로부터 최종 1요인 10문항이 도출되었으며, .90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검증표본(1차 자료에서 추정표본에 포함되지 않는 41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FI가 .954, TLI가 .941, RMSEA가 .077, SRMR이 .040로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2차 자료에서 획득한 249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두 번째 검증표본에서는 비교적 낮은 적합도(CFI=.862, TLI=.822, RMSEA=.158, SRMR=.067)를 보였지만, 세 번째 검증표본(1차 자료의 627명의 중·고등학생)에서는 상당히 높은 적합도(CFI=.983, TLI=.978, RMSEA=.062, SRMR=.021)를 확인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본 척도는 규칙적이고 꾸준한 실천,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학업효능감, 학업열의 효능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변별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만성일상지연, 만성학업지연, 상태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어 수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향후 교육 및 상담학적 개입을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임상적 함의를 시사하였으며,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intervening in academic procrastination. First, to easily capture improvement pre- and post-intervention, the scale was developed at the state level rather than the chronic level. Second, focusing on the specific phenomen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s “delaying the initiation of studying” - a core characteristic in the defini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 operational definition was es-tablished in developing this scale.
Methods To this end, we developed a SAIPS and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and EFA with 417 college students randomly extracted from the first-round data) and extracted the main factor from it. Subsequently, we performed CFA on three validation samples and evaluated the model fit. In addition, we verifi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From this sample, the final 1-factor 10-item scale was derived, and a high reliability of .90 or higher was confirmed. In the first validation sample (417 college students not included in the estimation sample from the first-round data), CFA showed adequate fit, with CFI .954, TLI .941, RMSEA .077, and SRMR .040. In the second validation sample, comprising 249 college students from the second-round data, CFA showed relatively low fit (CFI=.862, TLI=.822, RMSEA=.158, SRMR=.067). However, the third validation sample (62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first-round data) showed considerably good model fit (CFI=.983, TLI=.978, RMSEA= .062, SRMR=.021).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discriminant validity, demonstrating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gular and consistent practices”,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cademic efficacy”, and “academic enthusiasm efficacy”. Addition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chronic pro-crastination”, “chronic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procrastination state inventory: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tate inventory: fear of failure”, ensuring convergent validity.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ed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for future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0호 목차
- 상태학업착수지연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적 기능의 실현 양상 분석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4) ‘고전 시가’ 영역의 분석 및 방향
-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성인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분야에서 살펴본 고교학점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념적 접근에 관한 고찰: IB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학습태도,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교직수업을 중심으로
- 시나리오기반 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의 효과와 경험에 대한 연구
- 보편적 학습설계와 증거기반교수를 적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곱셈·나눗셈 성취도와 수학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무용창작 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내재적 동기 및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자기통제력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로버스카우트의 초·중등학교 연계 봉사활동 사례 연구: 로버스카우트 제도의 교육봉사활동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 예비기술교사의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념 형성과 변화: C대학 강좌를 중심으로
-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회복탄력성: 설명적 혼합연구법을 중심으로
- 미래 학교 교육과정 체제로서의 다중심성 교육과정 생성·공유 체제
- 텃밭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편식, 식습관,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의사소통적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가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중국인 학습자의 신문 기사 제목 이해 연구: 고급 학습자의 어휘력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가족 건강성과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국내 시각예술계열 일반대와 전문대 교육과정의 정합성 연구
- 가치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행과 요구
- 국내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연구동향 분석:학교급별 비교를 중심으로
- 일상 속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다문화가정 성인자녀를 중심으로
-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Idioms
- 성인학습자의 원격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독거 중년 미혼남성의 외로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베이비부머의 사회적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평생학습참여도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및 학생역량과의 관계 분석
- PBL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특성: 성찰일지의 코퍼스 기반 분석
- 국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교육 중재의 효과: 체계적 고찰
- 초등학교 5학년 일반 학생과 발달성 난독 학생의 영어 수행력 프로파일링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어교육 평가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음악치료 연구의 트렌드 분석: 키워드 의미 네트워크 접근
-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을 통한 변혁적 역량 탐구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실행연구 방법이 적용된 국내 영유아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신입생의 대학 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A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 수학 학습 촉진을 위한 애니메이션 자료 제작 연구: 파이썬 라이브러리 Manim을 기반으로
- OJT 및 Off-JT가 일학습병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 분석
- 성인의 비합리적 신념들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 사전 정보를 활용한 컴퓨터 적응 검사의 측정 정확성 및 효율성 향상 방안
- 어머니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부 갈등이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상담자의 상담경력과 사례개념화 능력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초등 예비교사의 도형과 측정 영역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검사 도구 개발 및 분석 연구
- 성인학습자의 성장 마인드셋,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학습 성과 간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의 삶에 근거한 평화교육 모형개발
- 성인 ADHD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 수학> 교과서의 선분의 중점 지도에 관한 분석
- 지방 국립대 자율전공학부 신임교수의 대학혁신과정에서의 근무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비대면 상담서비스 운영 변화와 과제: 국내 사이트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융합교육 실천 방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2022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영역 명 ‘초월’ 삭제와 해당 ‘내용 요소’ 이동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배경 학문의 주요 개념에 대한 고찰
- 스포츠참여 동호인의 사회적지지와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성의 관계
- 놀이기록 다시보기를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놀이 변화 탐색
- 자연생태 기반 STEAM 교육에서 유아가 경험한 행복의 의미
-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아토피 피부염 유아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관리수준
- 미술치료 전공 학부생의 임상실습, 수퍼비전, 학부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사교육비 불평등도에 대한 연구: 사교육비 지니 계수, 후버 지수, 팔마 비율을 중심으로
- 대학 집단상담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 중학교 1학년 대상으로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온라인(on-line) 양육참여 경험의 의미와 개선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집단 잠재계층분석을 적용한 측정동일성 검증: ICT 자기효능감의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 중학생의 창의적 성향 잠재집단 전이와 학생과 가정 관련 영향요인
- 국내 4년제 대학 여성 교원의 가면증후군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