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7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in the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 of college student on career decision lev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기남(Ki-Nam Kim) 최보영(Bo-Youn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419~43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생 소재 35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각된 진로장벽 독립변인, 진로성숙도 매개변인, 진로결정수준을 종속변인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치, 상관관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경로분석, 부트스트랩 검증을 적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는 진로결정수준에 중요한 변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리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는 직·간접효과,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변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진로장벽을 통합하여 진로결정수준을 탐색하기보다는 개념을 분리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본 연구의 타당성을 뒷받침하였다. 셋째, 지각된 진로장벽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이 과업마다 진로 계획과 선택을 조정하는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진로를 결정하는 수준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barrier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im-pa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level. Methods For this purpose, 358 college students nationwid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mediating variables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bootstrap ver-ification using SPSS 26.0 & AMOS 18.0 programs to derive research results.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maturity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in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in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maturity play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their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need to examine the concepts separately rather than integrating career barriers to explore career decision levels. Third,It is expected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will be able to use it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by exploring the path of career planning and selection for each task.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남(Ki-Nam Kim),최보영(Bo-Youn Choi). (2024).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0), 419-432

MLA

김기남(Ki-Nam Kim),최보영(Bo-Youn Choi).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0(2024): 419-4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