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자녀의 스마트 기기 의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양,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구조적 관계 탐색

이용수 10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Maternal, and Child Smart Device Dependence, the Amount of Family Time, and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은향(Kim, Eunhy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607~61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자녀의 스마트 기기 의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양,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2020) 데이터 중 관련 요인에 대해 모두 응답한 548쌍의 부모와 자녀 자료를 사용하였다.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및 변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고, 기술통계 분석을 바탕으로 자료의 정규성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측정 모형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고 이론에 근거한 연구 모형에 대해 최대우도법(MLB)을 적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에 기초한 매개효과 검증과 팬텀변수를 활용한 개별 간접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부모 중 어머니의 스마트 기기 의존이 자녀의 스마트 기기 의존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양은 스마트 기기 의존과 집행기능 곤란을 모두 낮추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아동의 스마트 기기 의존이 집행기능 곤란을 높이며, 어머니의 스마트 기기 의존과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결론 연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을 통하여 어머니와 자녀의 스마트기기 의존,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의 양이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thers', mothers', and children's smart devices dependence, the amount of family time spent together, and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 Methods Data from 548 pairs of parents and children who responded to all relevant factors in the 13th Korean Child Panel Survey(2020) were analyzed. Reliability analysis for scal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measurement model validation,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B) to the theory-based research model. Afterward, a mediation effect test based on bootstrapping and an individual indirect effect test using phantom variable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creased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the amount of family time spent together reduced both 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 In addition, children's smart device dependence increased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 an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mart device dependence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 Conclusions Explor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confirmed that maternal and child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he amount of family time spent together influence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향(Kim, Eunhyang). (2024).부⋅모⋅자녀의 스마트 기기 의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양,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구조적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6), 607-618

MLA

김은향(Kim, Eunhyang). "부⋅모⋅자녀의 스마트 기기 의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양,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구조적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6(2024): 607-6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