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전이 양상과 영향 요인 검증
이용수 195
- 영문명
- Exploring th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tial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효식(Choi, Hyosik) 연은모(Yeon, Eun M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119~1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잠재집단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시기의 잠재집단 구분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13차(2020년) 데이터의 1,203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12차(2019년, 초 5) 데이터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을 기준으로 이전 시점에 해당하는 자료이며, 13차(2020년, 초 6) 데이터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을 기준으로 이후 시점에 해당하는 자료이다. 3단계 추정 방법(three-step approach)에 기초하여 잠재전이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전 시기인 초등학교 5학년 학교적응의 잠재집단은 ‘보통 적응(727명, 60.4%)’과 ‘높은 적응(476명, 39.6%)’의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후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학교적응의 잠재집단은 ‘보통 적응(744명, 61.8%)’, ‘낮은 적응(76명, 6.3%)’, ‘높은 적응(383명, 31.8%)’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보통 적응 잠재집단 중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보통 적응 잠재집단으로 전이될 확률(76.4%)이 가장 높았으며, 높은 적응(12.7%), 낮은 적응(10.8%)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높은 적응 잠재집단 중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높은 적응 잠재집단으로 전이될 확률(61.3%)이 가장 높았으며, 보통 적응(37.0%), 낮은 적응(1.7%)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팬데믹 전 시기인 초등학교 5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창의적 학교환경, 모애착, 자아탄력성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후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창의적 학교환경, 자아존중감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코로나19 팬데믹 전 시기인 초등학교 5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후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학교적응 잠재집단으로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미디어 기기 중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있어 학교환경, 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중요하며, 특히 미디어 기기 중독 수준이 높은 초등학생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상황에서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atent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aptation is classifie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hat variables affect the classification and transition of the potential latent group.
Methods Latent Transition Analysis based on three-step approach was conducted to analysis changes of 1,203 students between 12th and 13th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Results First, before the COVID-19 pandemic period,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r school adaptation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verage adaptation’ and ‘high adaptation’.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r school adaptation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verage adaptation’, ‘low adaptation’, and ‘high adapt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period. Second, students who were in 5th grade in ‘average adaptation’ group has 76.4% probability of being transferred to the potential latent group in ‘average adaptation’ in 6th grade. Students who were in 5th grade in ‘high adaptation’ group also has 61.3% probability of being transferred to the potential latent group in ‘high adaptation’ in 6th grade. Third, creative environmental environment, parental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have influence on classification of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r school adaptation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before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after the COVID-19 pandemic, only creative environmental environment and self-esteem had influ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otential latent group. Fourth, media device addiction presented influence on the transition from before the after COVID-19 pandemic period.
Conclusions School environment, parental attachment,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are important in school adapt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etween COVID-19 pandemic and media device addiction may lower school adaptation during pandemi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6호 목차
- 전문 번역 교육 수업 운영 사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6호 표지
- 창작 주체성 보호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 수업의 설계 및 교수 전략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초등학교 인공지능 캠프 프로그램이 인공지능기술 태도 및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교육과 K-project 교과의 효과성 연구
-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위한 AI 융합 영어 쓰기 수업 모형 개발
- 대학생 대상 강의와 진로구성주의 기반 성찰중심 활동을 절충한 진로교과목 운영 및 효과 분석
-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Panel Analysis for Longitudinal Data
-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경찰 직무스트레스 연구동향 분석
- 인쇄 공익광고에 나타난 설득의 전략으로서의 개입평가 연구
-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양육 특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 MZ세대 조직몰입 변인 간 구조 관계
-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 식문화 적응 양상
- 그룹 음악치료가 노인의 사회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자기자애, 긍정심리자본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 간 관계
- 대학 교양수업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팀 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 부⋅모⋅자녀의 스마트 기기 의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양,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구조적 관계 탐색
- 정신건강복지센터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역량,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 구성주의 진로 집단상담의 효과요인 연구
- 구성주의 리더십에 근거한 교사 리더십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
- 챗GPT를 활용한 시쓰기 방안 연구
- 한국 영어 듣기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영어 실제(authentic) 자료 보통속도 연구
- ARCS 학습 동기 모델을 적용한 프로젝트 기반 음악 수업 방안
-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에서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대학에서의 교과목 인증제 개발 연구
-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 한국어 프로그램 현황과 학습자 특성 연구
- 한국인 미국 유학생의 진로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탐색
- 중학생 스마트기기 활용학습 학습만족도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 한국어 개념적 은유의 문화상대주의적 특성과 이에 따른 교육 방안
- 학생 현장탐방형 META-HyFlex 혁신 수업모형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성과 평가에 있어 생성형 AI 과제 활용 수용 의사에 관한 연구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전이 양상과 영향 요인 검증
- 영아교사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인식탐색
- 2년제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경험 탐색
-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동기부여를 위한 사전훈련이 성인학습자의 주의집중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학사과정 내 미술재활 현장실습 교과목을 통한 학습자의 경험 및 역량변화 연구
- ‘사회적 공감’ 교육 모형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문학 글쓰기의 과제 수행에 대한 분석 연구
- ‘과거사 청산’을 주제로 한 고등학교 한국사의 수업 내용 선정 방안
- 우리나라 수학 사교육 참여율과 참여자 특성 국제 비교:
-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지각된 인기의 종단적 관계
- 어머니의 가족건강성 인식과 중학생 자녀의 회복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보상 경험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멘토링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교직실무 수업 사례 연구
- 육도윤회척도(SRSS)의 타당화 연구
- 메타버스 젭(ZEP)을 활용한 중학생의 그림책 하브루타 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 분석과 사용성 향상 방안
- 초보자 테니스 운동활동에서 긍정적 사고와 운동자기도식이 코칭 역량 부합과 운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검증
- 요양병원에서의 낙상사고 관련 요인
- 서양의 음악교육 문헌에서 나타나는 즉흥음악에 대한 주요한 이슈 탐색 및 논의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 및 성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목표안정성,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 담화맥락을 고려한 발문 반성 활동이 예비과학교사의 발문 반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관계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