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에서의 교과목 인증제 개발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in University: Focusing on University 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영재(Jo Young Ja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6호, 355~37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의 교수활동과 교과목 단위의 질 개선⋅관리를 목적으로 교과목 인증제를 개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ADDIE 모형 절차에 따라 분석(A), 설계(D) 단계에서 문헌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교과목 인증제의 구성요소와 평가준거, 절차를 마련하여 교과목 인증제 초안을 도출하였다. 개발(D) 단계에서 전문가 검토 및 개선사항을 반영한 교과목 인증제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실행(I) 단계에서는 시범 적용을 실시하였고, 평가(E) 단계에서는 인증제 참여 학생과 인증 교원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결과 교과목 인증제 초안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한 후 개선사항을 반영한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최종안에는 교과목 인증제의 유형(역량기반형, PBL형), 구성요소(3영역), 평가내용(영역, 준거, 항목)과 판정기준, 운영 절차(9단계)를 확정하였다. 완성된 교과목 인증제는 2개 학기 동안 시범 적용한 후 참여 교원과 학생에 대한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학생 만족도는 인증 교과목 수강 학생(M=4.62)이 비인증 교과목 수강 학생(M=4.38)보다 전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원 만족도는 PBL형 교과목(M=4.57)이 역량기반형 교과목(M=4.39)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업운영 실정을 고려한 자체 교과목 인증제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학교육의 질 관리와 수업 표준화를 위하여 교과목 인증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대학에 유용한 기초 연구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ed a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nd managing the quality of teaching activities and subjects in university classes. Method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analysis (A) and design (D) stages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procedure. By combining this, the components, evaluation criteria, and procedures of the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were prepared, and a draft of the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was derived. In the development (D) stage, the final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reflecting expert review and improvement was confirmed. A pilot application was conducted in the implementation (I) phase. And in the evaluation (E) stage, satisfaction ratings were conducted on participating students and faculty. Results An expert review of the draft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was conducted and a final draft reflecting improvements was developed. In the final draft, the types of subject certification systems (competency-based, PBL-type), components (3 areas), evaluation contents (evaluation areas, criteria, items), judgment criteria, and operation procedures (step 9) were confirmed. The completed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was pilot-applied for two semesters and satisfaction ratings were conducted on participating faculty and students. Student satisfaction was higher for students in certified subjects (M=4.62) than for students in non-certified subjects (M=4.38). faculty satisfaction was higher for PBL-type subjects (M=4.57) than competency-based subjects (M=4.39).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its own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university's curriculum and operation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ful basic research data for universities that want to introduce a subject certification system to manag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standardize class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인증제도의 도입 취지와 추진과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재(Jo Young Jae). (2024).대학에서의 교과목 인증제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6), 355-373

MLA

조영재(Jo Young Jae). "대학에서의 교과목 인증제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6(2024): 355-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