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과 과학 교과의 체계적인 융합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 개발
이용수 98
- 영문명
-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ystematic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cience Subjec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영 김귀훈 강성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679~6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과 과학 교과의 체계적인 연계⋅통합⋅융합을 위한 교수 학습 설계와 실행의 기초가 되는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과학과 인공지능 모델링을 융합한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Richey와 Klein(2007)의 설계⋅개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교과의 공통 학습 요소인 모델링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수 학습 모형은 전문가 검토의견을 반영하여 다회에 걸쳐 수정⋅보완하였다.
결과 교수 학습 모형은 K(지식), M(모델링), B(인성) 요소에 대한 학습이 실행된다. 교수 학습 모형의 실행을 통해 과학과 인공지능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교수 학습 설계가 가능하다. 과학과 인공지능 모델링에 대한 심층적인 비교⋅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효과적인 모델링 학습을 실행할 수 있다. 교수 학습 모형을 적용한 모델링 학습은 기존 과학 모델링 교수 학습의 어려움 해결을 위한 지원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융합된 모델링이 적용된 교수 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모델링 과정 전체를 비교적 쉽고 간편하게 모델링 전체 과정에 참여하게 되어 모델링 과정이 어렵다는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인공지능 모델, 모델링 그 결과물의 활용은 모델 구성 과정에서 학습자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는 학습자 사고 표현, 가설 내용 생성 등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원 전략이 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과학과 인공지능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설계와 실행을 위해 교수 학습 상황에 필요한 교수 학습의 절차와 활동, 세부 전략, 사례를 제공하기 때문에 과학과 인공지능 융합교육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과학과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와 실행의 전체 과정을 조망할 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that is the basi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for the systematic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cience subjects.
Methods Richey and Klein (2007)'s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learning that combines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ing and to review its validity.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modeling, a common learning element of the subject, an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is. The teaching-learning mode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several times by reflecting expert review opinions.
Results In the teaching-learning model, learning is performed on K (knowledge), M (modeling), and B (personality) elem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 integrated teaching-learning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ubjects is possible. Because it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implications of in-depth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ing, effective modeling learning can be executed. Modeling learning applied with the teaching-learning model can be used as a support strategy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existing science modeling teaching-learning. First,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to which converged modeling is applied, learners can participate in the entire modeling process relatively easily and convenientl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modeling process is difficult. Secon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nd modeling results will be a specific support strategy that can support learners' thinking expression and hypothesis generation, which are pointed out as the biggest difficulty for learners in the process of model construct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eaching-learning procedures, activities, detailed strategies, and examples necessary for teaching-learning situations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Because of this, it is possible to clearly reveal how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can actually be done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blueprint that can overlook the entire process of class design and execution fo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2호 목차
- 융합교육(STEAM) 수업 동향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과 요구
- 장애학생들의 랩을 활용한 음악공연(랩 교가, 퓨전 합창)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팀프로젝트기반 임상시험연구 교육의 효과
- 중국어권 학습자의 종결표현 ‘-(으)ㄹ 텐데’ 사용 양상 연구
- 성평등 관점의 성교육을 실천하는 보건교사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4년제 일반대학 취업지원 기관 운영 실태와 향후 과제
- ‘-더-’가 쓰인 간접인용문에 대한 고찰
- 만3-5세 혼합연령 학급의 발달지연 유아의 변화 탐구
- 학교 내 아침체육활동 관련 연구 동향과 과제
- 수행자의 미술치료 반응작업에서 그림의 수도적 가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만 3세 유아가 경험한 텃밭정원 활동의 교육적 의미
- 초등학생이 인식한 담임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과 수업 참여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급풍토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인공지능과 과학 교과의 체계적인 융합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 개발
-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 애착과 아동의 그릿, 행복감, 집행기능 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 영유아 교사의 가족건강성과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시험 불안이 영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적응 선별 조사도구(K-CLASS) 타당화 연구
- 유보통합정책에 대한 보육 교직원의 인식 차이 연구
- 간호학과 신입생의 무망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의 다중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VR)기반 시뮬레이션 간호실습 경험
- 노인 연령차별주의 개선을 위한 초등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조선 후기 한글소설 속 아동관 연구
- 대학의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위한 설계 양식 표준화 방안 연구
- ADDIE모형 기반 유아교사 재난안전교육 교수역량 지표 구성에 관한 탐색 연구
- 외국어 학습 도구로서의 기계 번역
- Descriptive Study of the Value Orientation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Henan Province, China
- 호텔외식조리과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버츄프로젝트를 활용한 초등 3학년 영어수업방안 연구
- 보육실습 대학교재 내용 분석
- 성인의 외상 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 중년여성 만학도의 학습참여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이중매개효과
- 노벨 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수학 스토리텔링 자료 활용이 수학적 창의성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가족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 한국어 초급 읽기 수업을 위한 비계설정 전략
- A Crit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Workers
- 교원양성 교육의 독도 수업 설계 방안
- 영아반 교사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행의 어려움 극복과 지원 탐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학생의 취업불안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탐색
- 청소년의 정서문제, 진로정체감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이 미디어 비판적 이해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 사안 처리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 학부모 간 기대 차이
- 초등학생을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성인의 적대적 귀인편향과 부정 긴급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인성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계 방안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업지연행동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중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감성지능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대면과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 한국어 인용절의 논리-의미 관계 연구
- 인구감소지역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정책에 관한 인식과 요구
- 사회과교육의 가상지리답사를 위한 학습공간 개발 연구
- 코로나(COVID-19)팬데믹 상황 속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임상사례기반 SBAR를 적용한 급성악화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 비사범계열 교직 이수자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비보건계열 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지역사회 연계 협력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성인학습자의 대학학위과정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이 대학생활 후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인본주의 관점에서 본 평생교육의 의미 및 개념 정의에 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