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사범계열 교직 이수자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70

영문명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of non-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형수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45~6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교사 양성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그동안 관심이 부족했던 비사범계열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서울 소재 A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 중인 비사범계열 4학년 학생 5명을 대상으로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대학 졸업 후 중등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었고, 2023년 1학기에 교육실습을 이수하였다. 그리고 수집한 자료는 전사 및 코딩, 주제 발견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교직 전반에 대한 폭넓은 관점보다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자신의 진로와 수업 시연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교직 이수 과정에서 교직에 대한 충분한 학습과 경험의 부족으로 예상치 못한 학교 현장의 모습에 당황하면서 이론 위주의 교직과목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하기도 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다수인 사범계열 예비교사보다 소수인 비사범계열이라는 배경으로 교직 이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도움을 받을 학우나 지도교수가 없어서 문제 상황을 홀로 헤쳐나가고, 원(原)전공과 교직을 함께 이수하는 힘든 과정에서 스스로를 원전공과 교직 모두에서 비전문가라는 인식도 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비사범계열 배경이 교육실습 과정에서 학생을 더 소중히 여기는 계기가 되고, 원전공 지식이 자신만의 특기가 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경험이 연구 참여자에게 주는 의미를 논의하였고, 교육실습과 교직 이수 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educational practice and meanings of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not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hich had a large proportion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but lacked interest. Method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re-service teachers who are currently completing teaching courses to become teacher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not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Seoul.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evaluated their career and simulated instruction focusing on interaction with students rather than a broad perspective on the overall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were embarrassed to see the unexpected school field due to a lack of sufficient learning and experience in the teaching process, and negatively perceived theory-oriented teaching subjects.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ot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so they overcame the problem by themselves because they did not have colleagues or advisors to help them with the problem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teaching process. And in the difficult process of completing the major and teaching profession together,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y were not an expert in both the major and teaching profession. However, the backgr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ot a college of educatio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cherish students more in the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and they also had a positive experience in which major knowledge became their own specialty.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 of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was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and teaching completion process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형수. (2023).비사범계열 교직 이수자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2), 45-62

MLA

정형수. "비사범계열 교직 이수자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2(2023): 4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