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사회・정서적 역량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sessment for Adolesc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김인숙 최인봉 권재기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6권 제4호, 441~46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는 21세기 역량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사회·정서적 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역량을 설명하는 구성개념을 검토했다. 문헌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5가지 요인(공동체 의식, 협업, 갈등 해결,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50개 문항을 도출했으며, 예비조사와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30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했다. 검사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요인 모형이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역량을 측정하는 데 타당한 도구로 확인되었으며, 각 하위 요인별 신뢰도도 양호했다. 또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년과 성별에 따라 구인동등성을 검증한 결과, 이 도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adolesc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to validate its reliability. The study identified the educational paradigm focused on competencies for fostering 21st-century talent,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and established the conceptual framework that explains adolesc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Following the tool development process, a test was created, and its validity and generalizability were confirmed. The study initially derived 50 items based on five factors (sense of community, collaboration, conflict resolution, stress management, and resilie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validation. After preliminary research and analysis, 20 items were removed. In the final survey, 30 items were retained, with six items for each 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30-item scale, confirming that the five-factor model is a valid tool for measuring adolesc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The reliability for each sub-factor was also found to be satisfactory. Additionall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whether the tool could be applied equally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genders. The results showed that configural invariance, partial metric invariance, partial scalar invariance, and partial residual invariance were established, indicating that the scale can be used consistently across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숙,최인봉,권재기. (2024).청소년 사회・정서적 역량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36 (4), 441-460

MLA

김인숙,최인봉,권재기. "청소년 사회・정서적 역량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36.4(2024): 441-4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