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4-2023 해외 디자인 씽킹 연구 동향 분석 :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Global Design Thinking Research Trends (2014-2023):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LDA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엄혜은 신서경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6권 제4호, 411~44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 해외에서 수행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Scopus, EBSCO, Google Scholar 등의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총 362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키워드 분석과 LDA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디자인 씽킹 연구에서 ‘기술’, ‘혁신’, ‘창의성’, ‘프로젝트’, ‘방법론’, ‘공학’ 등의 키워드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에서 도출된 5개의 주요 연구 주제는 ‘디지털 혁신과 창업 교육’, ‘공학과 창의적 프로젝트 학습’, ‘예비 교사를 위한 융합형 기술 교육’, ‘공감과 사회적 문제 해결’, ‘STEM 교육 및 보건 교육에서의 자기효능감과 성취감’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디자인 씽킹의 연도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공감과 사회적 문제 해결’ 토픽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STEM 교육 및 보건 교육에서의 자기효능감과 성취감’의 토픽은 최근 점차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디자인 씽킹은 다학제적 접근과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기술적 사고와 자기 효능감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STEM 교육과 교사 양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씽킹의 학문적 적용 범위를 넓히기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Design Thinking conducted abroad from 2014 to 2023. A total of 362 papers were collected from major academic databases, including Scopus, EBSCO, and Google Scholar, and keyword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re applied.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Design Thinking research, keywords such as 'technology', 'innovation', 'creativity', 'projects', 'methodology', and 'engineering' played a central role. Second, the study identified five major research topics: 'digital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gineering and creative project-based learning', 'integrated technology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empathy and social problem-solving', an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TEM and health education'. Third, an analysis of the annual trends in Design Thinking revealed that the topic of 'empathy and social problem-solving' held the largest proportion, while the topic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TEM and health education'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recent years. This suggests that Design Think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learners' technolog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particularl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TEM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insights for expanding the academic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구내용 및 방법에 기초한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의 동향과 과제 : 2003년~2023년을 중심으로
- 고차원적 사고 유형 과제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생성형 AI 피드백의 비교
- 2014-2023 해외 디자인 씽킹 연구 동향 분석 :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의과대학에서 의공학 융합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 청소년 사회・정서적 역량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