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I and Digital Competency Support Policies in the U.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택형 김상철 주영효 김희규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319~3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의 AI⋅디지털 정책과 AI⋅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사례의 분석을 통해 한국의 AI⋅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먼저 미국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추진 배경과 AI⋅디지털 역량에 관한 개념적 정의를 살펴보고, 미국의 AI⋅디지털 역량의 다양한 유형을 소개한 후, 미국의 AI⋅디지털 역량 관련 지원 정책 및 활용 실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AI⋅디지털 역량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미국의 AI⋅디지털 관련 정책과 실행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교육부 발표자료, 미국 학술지, 미국 웹사이트, 미국 언론 등의 문헌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AI⋅디지털 연구 및 교육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광범위한 AI⋅디지털 문해력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AI⋅디지털 윤리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AI⋅디지털 교육에서의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ways to enhance AI and digital competencies among Korean teachers by analyzing current U.S. policies aimed at promoting these competencies in both students and teachers. First, it examines the background of U.S. policies supporting AI and digital com petencies, along with conceptual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of these competencies. Then, it investigates how U.S. education policies support the development and classroom application of AI and digital skills among American students and teachers. The analysis draws on an in-depth literature review, including reports from the U.S. Department of Education, academic journals, official websites, and media sources. Based on this review,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and offers policy directions for Korea, such as expanding investment in AI and digital education and research, implementing comprehensive AI and digital literacy programs, strengthening education on AI and digital ethics, and promoting diversity in AI and digital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AI⋅디지털 역량 지원을 위한 미국의 교육 정책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체육교과 운영 방안
-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의 로봇활용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과학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관을 소재로 한 그림책 창작 수업의 교육적 함의
- AI 디지털 교과서의 편찬 준거로서 보편적 학습 원칙
-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 어린이집 장애통합반 운영에서 교사 간 협력 과정 탐색
- 미국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현황과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