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ool Counselo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선혜연 최영숙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235~25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상담자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추후 학교상담자와 관련된 질적연구가 나아갈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게재된 연구물 중 ‘학교상담자’, ‘전문상담교사’를 주제어로 검색한 후 ‘질적’, ‘합의적 질적’, ‘근거이론’, ‘현상학적’, ‘내러티브’, ‘사례 연구’ 등의 주제어로 재검색된 학술지 논문 44편, 학위논문 35편, 총 79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한 연구물들의 연구대상, 발행연도,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 참여자 수, 인터뷰 횟수, 타당성 검증 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연구물이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2021년 이후 3년간 관련 연구물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둘째, 질적연구방법 중 합의적 질적 분석, 현상학적 연구, 근거이론 순으로 활용빈도가 높았으며, 연구 주제로는 학교상담자 의 특정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연구가 과반을 차지했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수는 4∼12명인 경우가 대다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 횟수는 1회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 검토, 연구참여자 검토, 동료검토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학교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ool counselor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articles published from 2014 to 2023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by using “school counselor” and “professional counselor” as keywords. Meanwhile, subsequent searches with “qualitative,” “consensual qualitative,” “grounded theory,” “phenomenological,” “narrative,” and “case study” as keywords identified 44 journal articles and 35 dissertations. The selected studies were then reviewed based on their research topics, publication year, methods, number of participants, interview frequency, and validity verifi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professional counselors,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recent publications.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included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grounded theory, with more than half focusing on specific experiences of counselors. Third, the number of participants typically ranged from 4 to 12, with single, in-depth interviews being the most common data collection method. Finally, the validity of the studies was mainly verified through expert, partic ipant, and peer review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proposed future direc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school counsel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선혜연,최영숙. (2025).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교육논총, 45 (1), 235-251

MLA

선혜연,최영숙.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교육논총, 45.1(2025): 235-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