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of Generative AI Use and Learning Affects Among Adult Workers: Comparison among Career Sustainability, Employment Anxiety,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안진아 정지선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121~13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성인남녀 직장인 256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사용수준(이하: AI 사용수준), AI 학습 효능감, AI 학습 불안을 지표변인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도출된 프로파일 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그리고 직무만족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세 집단이 도출되었다. AI 사용수준과 AI 학습 효능감이 낮으나 AI 학습 불안은 평균 이상인 ‘소극적 불안 집단(56.6%)’, AI 사용수준과 AI 학습 효능감은 평균 이상이며, AI 학습 불안은 낮은 ‘보통 낙관 집단(38.1%)’, 마지막으로, AI 사용수준, AI 학습 효능감, AI 학습 불안 모두 평균 이상으로 높은 ‘개방적 혼재 집단(5.3%)’이 도출되었다. 둘째, 세 집단 간, 진로지속가능성과 직무만족 수준을 비교한 결과, ‘개방적 혼재 집단’이 가장 점수가 높고, ‘보통 낙관 집단’, 그리고 ‘소극적 불안 집단’ 순으로 낮아졌다. 고용불안의 경우, AI 학습 불안이 높은 순서대로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개방적 혼재 집단’의 고용불안이 가장 높았다. 이는 AI 사용수준 및 AI 학습 효능감이 높은 것만으로는 고용불안을 완화하는데 불충분할 수 있으며, AI 불안에 대한 초점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 및 AI 시대 진로지도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I use levels, attitudes, and career development among 256 employed adult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with three factors related to AI, namely, use levels, learning efficacy, and learning anxiety, as the indicator variables. A comparison was made across profiles on career sustainability, employment anxiety, and job satisfaction. First, the results identified three groups: passive anxiety (56.6%; low levels of AI use and learning efficacy but average levels of learning anxiety), moderate optimism (38.1%; above-average levels of AI use and learning efficacy with low levels of learning anxiety), and open-mixed (5.3%; above-average levels of AI use, learning efficacy, and learning anxiety).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career sustain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groups revealed that the open-mixed group obtained the highest scores across all measures, followed by the moderate optimism and passive anxiety groups. For employment anxiety, higher levels of learning anxiety denoted higher levels of employment anxiety. These findings implied that while high levels of AI use and learning efficac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sitive outcomes, they may be insufficient for mitigating employment anxiety. Lastly, the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recommended career guida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체육교과 운영 방안
-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의 로봇활용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과학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관을 소재로 한 그림책 창작 수업의 교육적 함의
- AI 디지털 교과서의 편찬 준거로서 보편적 학습 원칙
-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 어린이집 장애통합반 운영에서 교사 간 협력 과정 탐색
- 미국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현황과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