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5

영문명
Longitudinal Study on Changes in Children’s Happiness between Lower and Upper Elementary School Yea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정아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궤적을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나누어 비교하고, 아동의 행복감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에서 수집된 초등학교 2학년부터 5학년까지의 1,41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2-3학년을 저학년 시기로, 3-5학년을 고학년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학업능력, 미래목표, 교사-학생갈등, 부모참여 변수를 시간의존적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행복감 변화궤적은 저학년과 고학년 시기에 차이를 보였다. 저학년 시기에는 행복감의 변화가 없었으나, 고학년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여학생에게서 이러한 감소가 두드러졌다. 부모의 학교 참여 정도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아동의 행복감 감소를 보호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업능력이 높을수록, 교사와의 갈등이 적을수록, 외재목표보다 내재목표를 추구할 때 동시기 아동의 행복감이 더 높게 보고되었다. 이러한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rajectories in children’s happiness across different elementary school period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happiness in the long term. This longitudinal study analyzed data from 1,412 childr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llowing participants from grades 2–5. Changes in happiness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two transition periods: from the second to third grades (lower grades) and from the third to fifth grades (upper grades). A piecewise growth model was adopted, which incorporated academic ability, future goals, teacher–student conflicts, and parental involvement as time-varying covariates. The results indicated distinct trajectories in happiness between the two periods. While happiness levels remained stable during the lower grade transition, a significant decline was observed in the upper grade period, especially among female students. All covariates, except for parental involvement, were protective factors against decrease in children’s happiness. Higher academic ability, lower teacher–student conflict, and the pursuit of intrinsic rather than extrinsic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current happiness levels. Drawing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아. (2025).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45 (1), 1-15

MLA

김정아.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45.1(2025):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