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heating Behavior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친우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173~1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총 34편의 연구(학위논문 4편, 학술지 논문 30편)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교급 및 측정 도구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숙달 접근 목표와 부정행위 간에는 효과크기 -.2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숙달 접근 목표가 높을수록 부정행위가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반면 수행 접근 목표와 부정행위 간에는 효과크기 -.03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수행 회피 목표와 부정행위 간에는 효과크기 .070으로 작지만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수행 회피 목표가 높을수록 부정행위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숙달 접근 목표와 부정행위 간의 부적 상관은 중학교에서 가장 두드러졌으며(ESr=-.401), 고등학교(ESr=-.238), 대학교(ESr=-.133), 초등학교(ESr=-.106) 순으로 효과크기가 작아졌고 모두 95%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수행 접근 목표의 경우 초등학교(ESr=.156)에서만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중학교(ESr=-.275), 고등학교(ESr=-.061), 대학교(ESr=.025)는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어 유의하지 않았다. 수행 회피 목표와 부정행위 간에는 학교급별 차이가 없었지만 초등학교(ESr=.169)에서만 유의한 효과크기가 확인되었다. 측정 도구에 따른 차이에서는 숙달 접근 목표와 부정행위 간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수행 회피 목표의 경우 Elliot(ESr=-.067), PALS(ESr=.058)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기타 도구(ESr =.198)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목표지향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학생들의 부정행위 감소와 학업 동기 향상을 위해 각 목표 유형별 전략적 접근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meta-analysis examined 34 studies (4 dissertations, 30 journal articles) dated from 2000 to 2023 to identify any relationship between an orientation toward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dishonesty, taking school level and measurement tools into account.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stery-approach goals and academic dishonesty (ESr = −.201), such that higher mastery-approach goals was correlated with lower academic dishonesty. Performance-approach goals exhibit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ESr = −.030), while perform ance-avoidance goals showed a small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070).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stery-approach goals and academic dishonesty was strongest in middle school (ESr = −.401), and it decreased through high school (ESr = −.238), university (ESr = −.133), and elementary school (ESr = −.106). Performance-approach goals onl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lementary school (ESr =.156). Performance-avoidance goal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school levels, except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Sr =.169). With respect to measurement tools, no significant moderation was found for the mastery-approach goals, but for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s, only certain tools produced significant results. Thes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achievement goal-oriented education and the need for tailored strategies to reduce academic dishonesty and improve students’ mo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체육교과 운영 방안
-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의 로봇활용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과학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관을 소재로 한 그림책 창작 수업의 교육적 함의
- AI 디지털 교과서의 편찬 준거로서 보편적 학습 원칙
-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 어린이집 장애통합반 운영에서 교사 간 협력 과정 탐색
- 미국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현황과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