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Mediating Effects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of Infants and Toddlers as Adult Learne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안민영 안지영 김정수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159~1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와 학업을 병행하는 성인 학습자인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인 학습자의 대학 생활 경험이 교사로서의 역량 형성에 미치는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기반 원격 수업과 주말 대면 수업을 병행하는 성인 학습자 1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보육교사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며, 유치원 정교사 자격 취득을 위해 학업과 직무를 병행하는 특성을 가진다. 분석은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실시되었다.연구 결과, 첫째, 회복탄력성, 대학 생활 만족도, 교사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 생활 만족도는 교사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인 학습자의 대학 생활 경험이 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와 심리적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는 대학 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더욱 높은 교사효능감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이러한 결과는 성인 학습자인 영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 회복탄력성과 대학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특히, 직무와 학업을 병행하는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지원과 정서적 지지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유보통합이 추진되는 현 시점에서 성인 학습자의 대학 생활 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성인 학습자의 학업 지속성과 직무 적응을 지원하는 교육 정책 및 대학 환경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resilience of infants and toddlers who are adult learners in both employment and study on teacher efficacy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ortance of adult learners’ college life experiences on the formation of their competencies as teachers. For this, 175 adult learn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who were tak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based remote classes and weekend face-to-face classes were survey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qualified as childcare teacher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both studies and jobs to qualify as full-time kindergarten teacher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5.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silienc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teacher efficacy. Second,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exhibit the greates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suggesting that adult learners’ college life experie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ir com petence as teachers and enhancing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In other words, teachers who had higher resilience tended to experience higher teacher efficacy as their life satisfaction at college increased. These results imply that efforts to improve resilience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re needed to improve teacher efficacy for infants and toddlers, who are adult learner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customized educ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nvolved in both employment and stud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on teacher efficacy at the present time, when reservation integration is being promoted; the results contribute to pointing to educational policie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university environment to support adult learners’ academic continuity and job adap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체육교과 운영 방안
-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의 로봇활용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과학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관을 소재로 한 그림책 창작 수업의 교육적 함의
- AI 디지털 교과서의 편찬 준거로서 보편적 학습 원칙
-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 어린이집 장애통합반 운영에서 교사 간 협력 과정 탐색
- 미국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현황과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