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Focus on Teachers’ Experienc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정수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39~5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3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교사 수준과 학교 수준 요인의 상대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수준에서는 교사의 사기가 교직 만족도에 가장 큰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비담임교사일수록 교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로부터의 인권침해 경험은 교직 만족도를 크게 저하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으로부터의 인권침해 경험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교 수준에서는 민주적 학교 문화와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교직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학생과의 관계, 학교장 리더십, 안전한 학교 노력 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학부모로부터의 인권침해 학교 평균은 교직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학생으로부터의 인권침해 학교 평균은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이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권침해 문제가 특정 학교의 상황이 아니라 교육 현장 전반의 구조적 문제임을 시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적⋅법적⋅사회문화적 대응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a multilevel modeling approach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by using data from the 2023 Gyeonggi Education Reality Survey, it examined the relative effects of teacher- and school-level factors, with focus on teachers’ experienc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t the teacher level, morale had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while older age, gender (male), and position (a non-homeroom teacher) were also associated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However, experiences of parental human rights violations were found to be a key factor lowering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experiences of student human rights violations. At the school level, a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community engagement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creasing job satisfaction. Conversely, relationships with students, the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nd efforts to create a safer school environ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Moreover, the school-level average of parental human rights violations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sat isfaction, whereas this average among the stude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impact of teachers’ experienc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on job satisfaction between school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 rights violations are not isolated issues within specific schools, but represent structural issues across the education system. In this regard, addressing these challenges requires more comprehensive national, legal, and sociocultural interven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수. (2025).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45 (1), 39-54

MLA

김정수.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45.1(2025): 39-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