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Cooperative Teaching in a Daycare Inclusion Classroom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방경록 박선혜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285~30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어린이집 4세 장애통합반에서 보육교사와 장애유아교사 간 협력이 통합교육과 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23년 3월부터 12월까지 정기 회의와 심층 면담을 통해 협력 방식, 역할 조정, 교육과정 운영, 개별 지원 방안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 장애유아교사의 협력이 유아 발달을 촉진하고, 통합교육 목표인 사회적 적응과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과 개별화교육계획(IEP)의 융합이 장애유아의 자연스러운 참여와 목표 달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협력 과정에서 상호 피드백 체계와 역할 분담의 유연성이 교육적 관점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기여하였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실천적 유연성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반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oper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nclusion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 4-year-old inclusion classes in daycare centers. Through regular meeting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took place from March to December 2023, methods of cooperation, role adjustments, curriculum operation, and individual support plans were explored. During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cooper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isabil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for effectively supporting social adaptation and interaction, which is the goal of inclusion educ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operatio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were effective in the natural participation and goal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the mutual feedback system and flexibility in sharing roles contributed to overcome difficulties caused by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spectiv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actical flexibility of operating a play-oriented curriculu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disabled and general infant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acher cooper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operations of the disability integration group and suggested concrete measures to achieve thi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체육교과 운영 방안
-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의 로봇활용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과학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관을 소재로 한 그림책 창작 수업의 교육적 함의
- AI 디지털 교과서의 편찬 준거로서 보편적 학습 원칙
-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 어린이집 장애통합반 운영에서 교사 간 협력 과정 탐색
- 미국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현황과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