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Fu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도재우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303~3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의 등장, 그리고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등 교육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미래교육의 실질적 주체가 될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미래교육 인식 연구들이 디지털 역량이나 에듀테크 활용과 같은 특정 영역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포괄적 인식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A교원양성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2명으로, 이들이 작성한 미래교육 관련 독서후기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 인식은 8가지 주제 영역으로 구조화되었다: 1)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성찰, 2) 학생 중심 교육의 필요성 인식, 3) 미래 핵심역량 함양의 중요성, 4)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관심과 우려, 5) 교권과 학생인권의 조화 모색, 6)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의 역할 고민, 7) 공교육의 역할 재정립 필요성, 8)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사명감 형성. 연구 결과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견지하면서도 새로운 변화에 대해 열린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미래교육을 단순한 방법론적 혁신이 아닌 교육의 본질을 새롭게 실현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방향 설정 및 미래교육 담론 형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epen understand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 tions of future education. Understanding these perceptions is crucial, especially given the educa tional environment’s rapid changes, inclu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 formation, generative AI’s emergence represented by ChatGPT, and declining student populations due to low birth rates. Although previous research on perceptions of future education has been limited to such specific areas as digital competency or educational technology usage, this study focused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mprehensive perceptions of future education. Study participants were 32 second-year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at A Teacher Training University; their book reviews on future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revealing eight thematic areas: 1) reflection on the education’s essence, 2)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tudent-centered education, 3) importance of fostering future core competencies, 4) interest and concerns about educational technology usage, 5) seeking harmony between teachers’ authority and students’ rights, 6) contemplating education’s role in responding to social changes, 7) need for redefining public education’s role, and 8) formation of identity and sense of mission as preservice teach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eservice teachers maintain fundamental educational values while showing openness to changes, understanding future education not merely as methodological innovation but as a process of newly realizing education’s essence.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directing teacher training curricula and shaping future education discours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체육교과 운영 방안
-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의 로봇활용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과학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관을 소재로 한 그림책 창작 수업의 교육적 함의
- AI 디지털 교과서의 편찬 준거로서 보편적 학습 원칙
-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 어린이집 장애통합반 운영에서 교사 간 협력 과정 탐색
- 미국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현황과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