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nce Education Research Group Activitie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강순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29~3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무용교육연구회가 초등교사 개인과 교육 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무용교육을 연구하며, 정보를 공유하여 서로 협력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등 중요한 플랫폼으로 교육청의 지원과 학술적 연구를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로 A 교육청 교육연구회의 B 초등무용교육연구회와 C 초등무용교육연구 회 대표 두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문헌 연구, 인터뷰, 설문 조사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은 개인의 성장과 전문성 강화에 도움을 준다. 둘째,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은 교육 공동체의 교류와 협력 문화 조성에 도움을 준다. 셋째,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은 교육청의 지원과 학술적 연구가 필요하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교육청은 연구회를 자율 연수기관으로 인정하고, 연구회 주관 직무연수를 개설하여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nce education research groups. In this context, these dance education research groups are expected to positively impact individu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broader educational community. Moreover, these groups aim to advance research in dance education and establish a collaborative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thereby creating an important platform for support and academic research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his study selected two representatives from the B and C Elementary Dance Education Research Groups of the A Office of Education Research Group as research participants. It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including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the dance education research group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tributed to personal growt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they helped foster a culture of exchange and collaboration within the educational community. Third, they require support and academic research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recognize the research groups as autonomous training institutions and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by establishing a job training program led by these research grou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순. (2025).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교육논총, 45 (1), 29-38

MLA

이강순.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교육논총, 45.1(2025): 29-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