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Early Childhood Assessment Practices in the Context of US Head Start Program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고은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343~36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의 맥락에서 유아평가 정책이 실제로 어떻게 전개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 헤드 스타트와 B 공립학교 헤드 스타트 기관을 사례로 선정하여, 교사 4명과 교사를 관리⋅감독하고 있는 교육 담당자 2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하고, 학급을 참여 관찰하였다. 각 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주목하면서 연구 문제에 따라 질적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기관은 각각 교사 관찰을 통한 준거 참조 평가와 표준화된 직접 평가 방식을 채택하여, 평가 도구에서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급 수준에서 실행되는 유아평가는 각 학급의 소그룹 활동의 조직 및 운영 방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두 기관 모두 학급 수준과 기관 차원에서 개선을 위해 유아평가 결과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방식과 그 강조점은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기관 구성원 간의 관계에 따라 유아평가 실천 양상이 달라졌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평가 정책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 적용의 다양성을 유형이 다른 두 헤드 스타트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과 관계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early childhood assessment policies are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US Head Start programs. To achieve this, A Head Start and B Public School Head Start programs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teachers and two educational administrators who supervised the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s were also conduc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questions, with attention paid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seen in each ca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programs used contrasting evaluation tools: A Head Start used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s that are based on teacher observations, while B Public School Head Start used standardized direct assessment methods. In addition, the early childhood assessments that were implemented at the classroom level showed a close linked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each classroom. Both institutions made efforts to use the assessment results for improvements at both the classroom and institutional levels; however, the ways in which the results were utilized varied, as did their emphasis. Finally, the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assessments differed with the institutions’ approache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staf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at they explore how early childhood assessment policies can be applied in practice, examining the diversity of their implementation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operations and the relational contexts of two types of Head Start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고은. (2025).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교육논총, 45 (1), 343-365

MLA

김고은.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교육논총, 45.1(2025): 343-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