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Instructional Design Exploration of a Preliminary Nutrition Teacher at 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선미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71~8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영양교사들이 수업 설계 경험을 심층적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예비 영양교사들의 수업 설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 참여한 예비 영양교사 8명을 대상으로 수업 설계에 관한 설계 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영양교사들은 수업 설계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 설계 및 실행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업 목표 설정, 학생 이해, 수업 활동 계획, 평가 도구 개발 등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며, 실제 수업 경험 부족으로 인해 자신감이 부족한 경우도 있었다. 예비 영양교사들의 수업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수업 설계 교육이 필수적이며, 이는 수업 목표 설정, 다양한 수업 방법 탐색, 평가 도구 개발, 실제 수업 경험 제공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멘토 교사와의 협력 및 동료 교사와의 교류를 통해 실제적인 피드백을 얻고,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을 요구하는 과정으로서의 수업 설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영양교사 교육의 질 향상과 더불어 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ways in which preliminary nutrition teachers can closely observe class design experiences and in which their future class design activities can be supported. We surveyed eight preliminary nutri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engineering class concern ing their experience in class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liminary nutrition teachers exhibited a general understanding of class design, confirming that they were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in class design and execution. In particular, prospective nutrition teachers had difficulty in setting class goals, understanding their students, planning class activities, and developing evaluation tools; further, they sometimes lacked confidence due to their lack of actual class experience. It is essential to train preliminary nutrition teachers in systematic class design, guiding them to set class goals, explore various class methods, develop evaluation tools, and provide actual class experience. In addi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mentor teachers and interaction with fellow teaching students, practical feedback can be obtained to improve class design skills to promote continuous learning and growth.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re nutrition teacher education and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for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예비 교사의 수업 설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미. (2025).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45 (1), 71-83

MLA

박선미.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45.1(2025): 7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