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이용수 0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of 3-year-olds, the Social Competence of 6-year-olds, the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of First-graders, and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First-grade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하민경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55~7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학교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6세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4차, 7차, 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했다.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분석을 위해 AMOS 26.0프로그램을 활용했고,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은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3세 가정양육환경은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에는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에는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초등학교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주었다. 넷째,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6세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졌다.다섯째,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이 초등학교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6세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가 초등학교에 진학하여 기초학습을 원활히 수행하고 문제행동을 나타내지 않기 위해서 부모는 유아에게 양질의 가정양육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하며, 교사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활동들을 실시해 사회성 발달을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of 3-year-olds, the social competence of 6-year-olds, the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of first-grade students, and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first-grad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ourth, seventh, and eighth yea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MOS 26.0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First,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showe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ird, social competenc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Fourth, social compet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with respect to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Fifth, social com pet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the home nurturing environment for externaliz ing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children to smoothly perform basic learning and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parents should provide a high-quality home nurturing environment, and teachers should support social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민경. (2025).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교육논총, 45 (1), 55-70

MLA

하민경.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교육논총, 45.1(2025): 5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