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ing Fraction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정영옥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1호, 197~2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분수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배경의 핵심 요소로 분수의 의미, 전체와 단위, 분할, 동치분수와 분수의 크기 비교, 분수 지도 모델을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분수 지도 내용을 분석하여, 분수 지도를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서 고려하고 탐색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분수의 의미에서는 교육과정에서 분수의 의미 명시, 측정의 의미 강조와 상대적 크기의 강조, 둘째, 전체와 단위에서는 전체와 단위 구분의 명시, 셋째, 분할에서는 다양한 분할 전략의 사용, 넷째, 동치분수와 크기 비교에서는 동치분수의 조기 도입과 직관적인 이해, 분수의 크기 비교 전략의 다양화, 다섯째, 분수 지도 모델에서는 길이 모델에서 막대, 막대와 수직선, 수직선의 순차적인 사용, 자연수와 분수 지도에서 이중수직선의 효과적인 연결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ey pedagogical elements for teaching fractions, including their interpretation; the whole and unit; partitioning; equivalent fractions and comparison of fractions; and teaching models. Additionally, this study proposes an analysis framework for textbooks and analyzes the content of fraction teaching in mathematics curricula and Korean textbook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fraction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In terms of interpretation, specifying the interpretation of fraction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empha sizing the interpretation of measurement, and highlighting the relative meaning of fractions are important. When discussing the whole and unit, it is crucial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m. For partitioning, various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enhance understanding. Regarding equivalent fractions and size comparison, the study recommends introducing equivalent fractions early, ensuring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continuously practicing working with fractions while diversifying strategies for their comparison. For teaching models, this study suggests a sequential use of bar models, bar and number line models, and number line models in line models. In addition, effectively linking double number lines in teaching natural numbers and fractions can be beneficia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분수 지도 내용 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연구회 활동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시기 아동 행복감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체육교과 운영 방안
- 예비 영양교사의 수업 설계 경험 탐색: S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직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교사의 인권침해 경험을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가정양육환경, 6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초등 1학년 학업수행능력, 초등 1학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디자인씽킹 기반의 로봇활용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의 분수 지도에 관한 논의
- 성인 학습자로서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교상담자 대상 질적연구 동향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과학 스토리북 제작이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과 부정행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관을 소재로 한 그림책 창작 수업의 교육적 함의
- AI 디지털 교과서의 편찬 준거로서 보편적 학습 원칙
-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미국 헤드 스타트 기관 맥락에서 유아평가 실제 탐색
- 어린이집 장애통합반 운영에서 교사 간 협력 과정 탐색
- 미국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의 현황과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