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용수 55

영문명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영숙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223~23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을 독립변인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S시, G도, K시, J도 소재 유치원 교사 91명과 만 5세 유아 343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24.0과 AMOS 18.0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첫째 독립변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매개변인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독림변인 유아교사 공감능력 및 매개변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종속변인 유아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에는 종속변인 하위변인 ‘놀이상호작용’과는 정적상관, ‘놀이방해’와는 부적상관, ‘놀이단절’과는 상관이 없음이 나타났고, 둘째,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종속변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매개하였을 때 직접효과보다는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효과만 타나났으며, 매개변인인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종속변인인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도 직접효과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유아교사의 공감능력도 의미가 있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더욱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set the empathic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affects young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91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43 5-year-old children located in S City, G Province, K City, and J Province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collected data conducted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s with PASW 24.0 and AMOS 18.0. Resul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he mediating variabl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the mediating variable, teacher-child interaction. Among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pendent variable ‘play interactio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lay disruption’, and no correlation with ‘play interruption’. Secondly, The influence of this dependent variable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was confirmed to have a larger indirect effect than a direct effect when mediated by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showed only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at the mediating variable, teacher-child interaction, also had a direc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Conclusions Althoug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is significant as a variable that affects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it can be predicted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is a variable that has a more meaningful impact. This suggests that re-education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field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영숙. (2023).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2), 223-238

MLA

백영숙.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2(2023): 223-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