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북아 상고시기 신단(神壇)의 존재유형과 문화적 함의

이용수 89

영문명
Types of Existence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Spiritual Altar in the Ancient Period of Northeast Asi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선식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5권 3호, 903~91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동북아의 상고시기에 존재했던 신성조영물(神聖造營物, 神壇)의 존재유형과 그 문화적 의미를고찰한 것이다. 가장 큰 규모의 신단유형으로 제단과 사당 그리고 무덤이 세트로 구성된 내몽골의 홍산유적과 한반도의 강화 참성단을 거론했다. 홍산지역의 경우, 강력한 신성성의 부각이라는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측면이 읽혀졌다. 참성단의 경우에도 신성한 보본(報本)의식을 반영하면서 생명잉태의 신성부위인 자궁을 형상화했다는 추론을 제시했다. 이어서 차상위 유형의 신단으로 한국의 울산지역 대곡리암각화와 천전리 암각화에서는 차별적이고 배타적이며 선택적인 신성공간과 개방적이고 열린 신성공간이라는 관점을 제시했다. 또한 중소축조유형에서는 고인돌과 선돌 등을 살펴보았는데, 고인돌의 측벽에새겨진 제의 광경 모습을 헤아려보았다. 기타 이동가변유형의 신단으로 최근에 고고조사로 주목되고 있는 삼성퇴유적의 청동제 신단 등을 살펴보았는데, 신이한 동물을 상징적 요소로 적용한 것에 주목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ype of existence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acred monument that existed during the ancient period of Northeast Asia. The largest new altar type was the Hongsan ruins of Inner Mongolia, which consists of altars, shrines, and tombs, and the Ganghwa Chamseongda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ase of the Hongsan area, an aspect reflecting the political intention of highlighting strong sacredness was read. In the case of the Chamseongdan, it also suggested an inference that it expressed a sacred uterus that conceived life, reflecting the sacred consciousness of repaying the root. Subsequently, as a second-highest type of new foundation, Daegok-ri Petroglyphs in Ulsan and Cheonjeon-ri Petroglyphs in Korea suggested a differentiated, exclusive, selective sacred space and an open and open sacred space. In addition, dolmens and menhir were examined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type, and the ceremonial scenes carved on the side walls were examined. As for other types of movable variable, we looked at the bronze altar of the Samseongtoe Ruins, which is drawing attention as an archaeological survey, and paid attention to the symbolism of the new animal.

목차

1. 여는 글-동북아 상고시기 신단을 살피는 의의와 그 분석의 기조
2. 상고시기 신단의 존재양태에 따른 유형과 특징
3. 상고시기 동북아 신단에 반영된 문화적 함의
4. 맺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식. (2023).동북아 상고시기 신단(神壇)의 존재유형과 문화적 함의. 문화와융합, 45 (3), 903-917

MLA

박선식. "동북아 상고시기 신단(神壇)의 존재유형과 문화적 함의." 문화와융합, 45.3(2023): 903-9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