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먹방콘텐츠에서 카메라 연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이용수 50

영문명
Analysis on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of Camera Directing in Online Eating Content: Focused on Teenagers and People in their 20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대용 유상완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5권 3호, 629~64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먹방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카메라 연출에 따른 시청자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을 조사하기위해 온라인 먹방콘텐츠 중에서 구독자가 많은 상위 채널 5개를 선정하여 카메라 연출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먹방콘텐츠에서 주로 사용하는 카메라 앵글을 로우 앵글, 아이 레벨 앵글, 하이 앵글(10도), 하이 앵글(20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고, 샷 사이즈를 풀 샷, 미디엄샷, 바스트 샷, 클로즈 업 샷으로 구분하여 8가지 유형의 슬라이드 사진을 제작하였다. 분석에는 먹방시청 경험이 있는 223명의 표본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먹방시청시 가장 선호하는 카메라 앵글은 아이 레벨 앵글로 가장 선호하는 샷 사이즈는 미디엄 샷으로 조사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형용사와 이들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요인군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메라 앵글과 샷 사이즈의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시청자들이 선호하는 카메라 연출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amera directing by selecting 5 top channels with many subscribers among online eating content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factors that affect viewers' visual preferences according to camera directing in producing online eating content. Based on this, camera angle mainly used in eating content was divided into low angle, eye-level angle, high angle(10 degrees), and high angle(20 degrees), and eight types of slide photos were produced by dividing the shot size into full shot, medium shot, bust shot, and close-up shot. For the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after a survey of 223 samples with experience in watching online eating content. As a result, the most preferred camera angle for watching online eating content was an eye-level angle, and the most preferred shot size was a medium shot. Through factor analysis, the factor group was identified through emotional adjectives that affect visual preferences and thei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various camera directing methods preferred by viewers were present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amera angle and shot siz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용,유상완. (2023).온라인 먹방콘텐츠에서 카메라 연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문화와융합, 45 (3), 629-642

MLA

김대용,유상완. "온라인 먹방콘텐츠에서 카메라 연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문화와융합, 45.3(2023): 629-6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