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실 공간으로서의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참여적 전시의 의미

이용수 30

영문명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displays on the wall as a classroom space: Making displays of the rainbow tree on the wall togeth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진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677~7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실 공간으로서 벽면에서 유아 참여적 전시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19년 9월 초에서 2020년 2월 말까지 만 4세 새싹반 교실을 일주일에 2번 방문하여 관찰하였고, 교사면담, 영아면담, 기록물 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강진주와 고은경(2022)이 제시하는 유아 참여적 벽면 전시의 내용을 해석적 틀을 삼고 주제적 분석(thematic analysi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새싹반 벽면에는 6개월 동안 유아와 학부모가 이름 붙인 ‘무지개나무’가 7가지 모습으로 전시되었고 그 과정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경계가 허물어지자 무지개나무 모습이 다양하게 변하면서 우리 반의 공간을 변화시키는 벽면 전시가 이루어졌다. 둘째, 시간 경계가 허물어지자 우리 반의 현재 관심이 드러나면서 우리의 우연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벽면 전시가 이루어졌다. 셋째, 개인 간 관계의 경계가 허물어지자 소통이 활발해지고 공동체 애착이 생기면서 우리 반 정체성이 만들어지는 벽면 전시가 이루어졌다. 넷째, 권위의 경계가 허물어지자 유아의 참여가 더 많이 다양해지면서 우리의 진짜 이야기를 다 할 수 있는 벽면 전시가 이루어졌다. 결론 본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참여적 벽면 전시는 유아의 서사(narrative)를 구성하고, 유아가 배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유아중심 교육적 경험이며, 벽면이 놀이가 일어나며 동시에 기록의 장소로서 교실 내 의미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cess and educational meaning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displays on the wall as a classroom space. Methods To this end, from the beginning of September 2019 to the end of February 2020, the 4-year-old class was observed twice a week, and a teacher and children were interviewed, and collection of artifact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aking the content of the participatory wall display for young children suggested by Kang, Jinju and Goh, Eun Kyoung (2022)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ree display, ‘rainbow tree’ named by children and their parents was put in seven different shapes on the wall of the class for 6 month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wall display: First, as breaking the space boundary, the rainbow tree changed its appearance in various ways, and a wall display changed the space of our class. Second, as breaking the time boundary, the current interest of our class was revealed, and a wall display was made in which our stories with serendipity were continuously made. Fourth, as breaking the boundaries of authority, the children's participation became more diverse and the wall displays were made to tell our authentic stories. Conclusions It was discussed that the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wall display constituted the narrative of young children and was a child-centered educational experience in which children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which the wall can be a meaningful space within the classroom as a place for playing and documenting at the same ti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주. (2023).교실 공간으로서의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참여적 전시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6), 677-702

MLA

강진주. "교실 공간으로서의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참여적 전시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6(2023): 677-7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