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중도장애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09

영문명
An Autobiogrphical Narrative Inquiry on Woman's Experience of Post-Traumatic Disabil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영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581~60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인기에 외상 후 중도장애를 경험한 여성이 장애 이후 살아낸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로 탐구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외상 후 중도장애 경험과 관련하여 나는 어떠한 삶의 이야기를 살아내는가?’라는 연구퍼즐을 구성하고, 나 자신의 기억과 일기, 메모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어떻게 경험되는지 주목하여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분석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관계적 존재로 살아내는 이야기’는 ‘몸 안에 갇힌 몸, 찰나의 순간 다급하게 찾아온 목소리, 딸이기보다 엄마이기를 선택하다, 끊임없이 나의 이웃이 되어준 수많은 사마리아인들, 새로운 초대로 내 손을 뻗다, 긴 터널을 통과하는 동안 함께해 준 가족’의 6개의 내러티브로 재구성되었고 둘째, ‘몸과 관련하여 살아내는 이야기’는 ‘깨져버린 항아리, 나는 장애인스럽지 않다, 흠을 품은 도자기가 아름답다, 항아리가 아니라 생명의 샘에 눈뜨다’의 4개의 내러티브로 재구성되었다. 중도장애 이후 살아낸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눈에 비늘이 벗겨지고 비로소 바로 보게 됨’, 둘째, ‘나를 넘어 이웃과 세상으로의 연결에 대한 초대’, 셋째, ‘자기 수용과 전체로서의 인생을 받아들이는 여정’으로 드러났다. 결론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중도장애와 손상된 몸을 가지고 살아내는 경험에 대한 이해가 개별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넘어 중도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기를 기대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aning of my own experience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post-traumatic disability experienced in adulthood with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Methods Research puzzle was built what life story do I form when it comes to experiencing post-traumatic disability. Based on data such as my own memories, diaries and memos, I reconstructed the narrative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exploration space,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exploration procedure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tory of living as a relational being was reconstructed into six narratives: “A body trapped in a body, a voice that came in an urgent moment, choosing to be a mother rather than a daughter, numerous Samaritans who constantly became my neighbor, reaching out with new invitations, and a family who was with me through a long tunnel.” Second, the story of living in relation to the body was reconstructed into four narratives: “A broken jar, I am not disabled, a flawed pottery is beautiful, and I wake up to the fountain of life, not a jar.”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s revealed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story lived after the disability in adulthood. First, “the scales are peeled off in my eyes and I see them right away,” second, “invitation to connect to my neighbors and the world beyond me,” and third, “a journey to accept self-acceptance and life as a whole.” Conclusions Through this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airy, I hope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disability in adulthood and damaged bodies will extend beyond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huma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he disability in adulthood. And I made a sugges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나의 중도장애 경험 이야기 풀어 내기
Ⅴ. 내러티브를 마치며: 익숙하던 세상이 부서지고 새로운 세상으로의 초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아. (2023).성인 여성의 외상 후 중도장애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6), 581-605

MLA

전영아.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중도장애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6(2023): 581-6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