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결된 시대의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서 커넥티드 러닝(Connected Learning)방법론에 대한 탐색
이용수 402
- 영문명
- The Exploration Research on a new learning environment Connected Learning Methodology in the connected a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다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를 전방위적으로 활용하여, 개인의 관심과 지원적인 관계 그리고 새로운 기회를 연결하는 커넥티드 러닝 개념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커넥티드 러닝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한 문헌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설계 원칙과 핵심 활동 과정을 도출하여 개념도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다음, 완성된 개념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타당도(CVI)와 평가자간 일치도(IRA)를 실시하였다.
결과 문헌고찰을 통해 학습 목표, 설계 원칙, 학습 단계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도 초안을 완성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CVI)와 평가자간 일치도(IRA) 결과, 적절성, 타당성, 이해도, 유용성, 기대효과 면에서 본 연구 결과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최종 제시된 커넥티드 러닝 개념도는 학습 시작 전(관심 파악 및 다양한 학습 경로 지원을 위한 환경 조성), 학습 과정(관심에 기반 한 주제적 접근 및 탐색 방법모색-사회적 연결을 통한 주제탐색-사회적 실천 지향 프로젝트 개발-프로젝트 홍보 및 실행(제작)-공유 및 새로운 기회로 연결/확장을 위한 논의), 학습 종료 후(실제 삶의 기회로 연결)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계별로 설계 원칙과 핵심 지침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커넥티드 러닝 개념도는 연결된 시대에 살아가는 학생들을 위한 학습 방식을 설명한다. 이 방식은 비공식 공간에서의 학습 경험의 가치를 인식하고 공식 학습 및 새로운 기회로 연결을 강화하며 학습 형태에 대한 접근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nected learning concept map that connects individual interests,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new opportunities b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s in all directions.
Methods To this end, we developed a concept map by deriving design principles and key activity processes bas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on connected learning concept and components. An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mpleted concept map, validity (CVI) and inter-rater agreement (IRA) were conducted from the expert group.
Results Learning goals, design principles, and learning stag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ased on them, a draft concept map was comple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positively in terms of the validity test (CVI) of the expert group, the inter-rater agreement (IRA), relevance, validity, understanding, usefulness, and expected effects. The final presented concept map of connected learning is before learning starts (identifying interest and creating an environment to support various learning paths), learning progress (approaching topics based on interest and exploring exploration methods - exploring topics through social connection - social practice - oriented project development - Project promotion and execution (production) - Sharing of new opportunities and discussion for connection/expansion) After completion of learning (connection to actual opportunities), design principles and core guidelines were presented step by step.
Conclusions The concept map of connected 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explains the learning method for students living in the connected era. This approach is critical to recognizing the value of learning experiences in informal spaces, strengthening connections to formal learning and new opportunities, and expanding access to learning forma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통령 취임사의 문법적 특징 연구
-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조망과 지리 교과의 역할 고찰
- 초등학생의 집행기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아버지와 어머니의 문화성향이 아버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생의 학업부진 경험과 대처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 부모의 자녀학대를 발견한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아동학대 신고과정 경험연구
- Examining Learners’ Perception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 Focusing on UNESCO’s Conceptual Framework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미디어 이용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중도장애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미술활동이 여성노인의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를 위한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 개발
-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환자안전 역량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자해’관련 유튜브 댓글의 내용분석
-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 실생활 활동지를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중등 양자물리학 교육 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에 따른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 차이 분석
- 과정적 실재로서의 R&D기획 전문성 육성방안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코로나 19 이후 경호 관련 학과의 사회적 인식 분석
- 영유아교사의 성격 6요인(HEXACO)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
- 예비사회복지사 만학도의 학습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장애인을 그린 우수 그림책 특성 검토
- 심미적 체험 기반의 과학관 전시기획 프로세서 제안
-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시민의식 개인별 변화궤적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 연결된 시대의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서 커넥티드 러닝(Connected Learning)방법론에 대한 탐색
- 제조업 엔지니어의 무형식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 그들은 왜 교차지원을 했는가?
-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핵심감정에 따른 역전이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임상간호사가 인식한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안전분위기, 비판적 사고성향이 투약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Evaluation of a fully online flipped teaching course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학교육의 과제와 방향
- 부부관계 유대감과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코로나19 시대에 원격교육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사회지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웹 기반 쓰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 고등학생 대상 다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202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 IB MYP 월드스쿨 교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자연물을 활용한 흙 놀이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중급 전임 남성상담사의 성역할 정체성 경험연구
- 교실 공간으로서의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참여적 전시의 의미
- 한국판 온·오프라인 사회적 거부민감성 척도(O2S3)의 타당화
-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블렌디드 러닝 국악수업 설계 및 사례연구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노인난청의 청능훈련프로그램 사례연구
-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내용 및 교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 건강 문해력이 낮은 노인을 위한 약물 교육이 약물 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SW·AI교육 연구동향 분석
- 유아기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어려움과 바람
- 학령인구 감소 연구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실천적 지혜에 기반한 대학 PBL수업에서 교수자의 역할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6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