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내용 및 교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이용수 134

영문명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subject matters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혜윤 권윤지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399~4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가진 교육내용과 교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 부산, 경남 소재 공립유치원 교사 8명이 2023년 1월 중에 개별적으로 대면 또는 비대면의 방식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토대로 ‘자료 읽기 및 정리, 분석적 메모 쓰기, 1-3차 코딩, 연구 결과 재현’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나, 사실상 각 단계는 상호 중첩되어있으며 분석 과정은 순환적·반복적으로 모든 단계의 경계를 넘나들며 이루어졌다. 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5개 영역에 대해 발달/생활/교육내용으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육내용에 대해서도 변화 있음/없음으로 인식하는 등 교육내용에 대해 각기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놀이나 교사 자율성이나 통합교육과정 등과 같은 유아교육과정만의 특이성을 반영하여 교육내용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교과라는 용어에는 낮은 수용도를 보였으나 교과내용을 불필요한 것으로 여기는 것은 아니었으며, 이미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속에서 교과내용은 간접적인 형태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개인이 가진 경험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교육을 실행해 나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유아교사들이 교육과정의 특이성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교육적 신념과 유아들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잘 고려하여, 유아들과 함께 교육내용을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 페다고지를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과 용어에 대한 거부감을 벗어나 교사가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교사의 지식으로 교과내용을 차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아교육에서 교과는 타 학교 급에서의 교과에 대한 개념과는 다른 의미를 새롭게 생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단지 텍스트로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고 교육과정의 실행 주체인 교사의 삶과 경험에 대해 보다 관심을 두고 지원해 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contents and subject matter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Methods 8 teachers from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Busan, and Gyeongnam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person, or online interviews individually in January 2023. The data collected to underwent a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ve Analytic Procedures Based on the Pragmatic Eclecticism,” which involved processes such as “iterative reading/management of qualitative data, writing analytic memo, 1st/2nd/ 3rd coding, representation of results.” However, in practice, each stage overlapped with others, and the analysis process occurred in a cyclical and iterative manner,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all stages. Results First, the teac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curriculum, such as recognizing the five content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as developmental/life/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s changed/not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also recognized by reflect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such as play, teacher autonomy, and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s showed a low level of acceptance towards the term “subject matter,” but they did not consider the contents of subject matters as unnecessary. The contents of subject matters were already being covered indirectly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ird, the teachers were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s. They faced various challenge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urriculum. Conclusions Therefore, various supports are needed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 distinctiveness of the curriculum and to develop a curriculum pedago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ir own educational beliefs and the interests and developmental levels of young children, while co-crea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them. There is also a need to create novel meanings for subject matt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different with other school levels, in order to overcome resistance to terminology and to enable teachers to borrow the contents of subject matters as pedagogical knowledge that they can recognize and use. Finally,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eachers do not simp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curriculum as a text, and to be more concerned with and supportive of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who are the agent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윤,권윤지. (2023).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내용 및 교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6), 399-422

MLA

최혜윤,권윤지.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내용 및 교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6(2023): 399-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