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를 위한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 개발

이용수 50

영문명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observation model based on ‘criticis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정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505~51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를 위한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비평, 놀이관찰, 관찰모형 개발과 관련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모형 시안의 목적과 이론적 준거를 마련하고, 유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모형 시안의 구성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모형 시안은 유아교육전문가 10인과 현직유아교사 10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모형 시안은 유아교사 12인을 대상으로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약 10회 정도 현장 적용하고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모형을 확정하였다. 결과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은 놀이 속에서 예술성을 읽어내고 의미를 해석해내는 공식적인 과정이며, 이를 실행하는 유아교사는 자신을 점검, 수정, 강화하는 반성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기본관점을 두었다. 유아교사의 놀이감식안의 함양, 비판적 글쓰기 역량의 증진, 놀이관찰에 대한 자기반성과 안목형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운영절차 및 내용은 관찰도구로서 생각 점검하기와 감식안 점검하기, 글쓰기 점검하기를 포함하는 ‘관찰 도구되기’, 놀이감식하기와 놀이기록하기를 포함하는 ‘감식’, 놀이해석하기와 함께 해석하기를 포함하는 ‘비평’, 평가하기와 공식화하기를 포함하는 ‘성찰’로 구성하였다. 모형 활용 시 고려점으로는 교사의 맥락에 따라 융통성 있게 사용하고, 감식보다는 비평과 성찰의 단계에 집중하며, 유아교육기관 차원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이전의 기록행위 중심의 관찰을 의미 해석 중심의 관찰로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유아교실의 맥락을 살린 유아놀이관찰의 실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observation model for children’s play based on ‘criticis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After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riticism, play observation, and observation model development, the purpose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drafting of the model were prepared, and using the concept map method for 3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structive concept of the model draft was derived. The model draft constructed in this way was verified for content validity by 10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1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odel draft was applied to 12 early childhood teachers on-site about 10 times from June to July 2021, and the final model was finalized after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contents. Results This model regards the observation of children's play based on ‘criticism’ as a formal process of reading the artistry and interpreting the meaning in play, an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 it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self-examine, correct, and strengthen themselves. The purpose of the model was to foster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play, improve their critical writing skills, and form an eye for self-reflection on play observation. The operating procedures and contents are ‘becoming an observation tool’ including checking thoughts and perceptions as an observation tool, checking writing, ‘connoisseurship’ including detecting play and recording play, and interpreting together with interpreting play. It consists of ‘critique’ that includes, and ‘reflection’ that includes evaluating and formulating. As for the points to consider when using the model, it was proposed to use it flexibly according to the teacher's context, focus on the stage of criticism and reflection rather than discernment, and use it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t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onclusions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lead to a change from observation centered on recording activities to observation centered on semantic interpretation.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prepare a practical method for observing children's play utilizing the context of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 (2023).유아교사를 위한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6), 505-519

MLA

김은정. "유아교사를 위한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6(2023): 505-5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