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428

영문명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현혜순 김윤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125~13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06월부터 2022년 08월까지 A시와 D시에 위치한 지역의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간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대학생의 우울 점수는 평균 0.45점, 대인관계 만족도는 3.73점,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34점이었다. 대상자의 우울은 학년(F=5.252,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664, p<.001), 거주형태(F=3.171, p=.025)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대인관계 만족도는 연령(t=2.755,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953, p<.001), 거주형태(F=7.64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연령(t=3.362, p=.001), 주관적 건강상태(t=4.080, p<.001), 학업 성적(F=9.642, p<.001), 흡연(t= 2.384, p=.018)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우울(r=-0.314, p<.001), 대인관계 만족도(r=-0.447, p< .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해 대학생활 요소 중 우울 감소와 대인관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을 우선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10 university students in regions located in A and D between June 2022 and August 2022. To analyze the data,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ANOVA,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average depression score was 0.45, the averag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core was 3.73, and the average college life score was 3.34. Depression significantly varied in terms of grade(F=5.252, p=.006), self-rated health(t=-3.664, p<.001) and residence type(F=3.171, p=.025).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t=2.755, p=.006), self-rated health(t=3.953, p<.001), residence type(F= 7.640, p<.001). Adjustment to college life significantly different varied in terms of age(t=3.362, p=.001), self-rated health(t=4.080, p<.001), academic performance(F=9.642, p<.001), and smoking status(t=2.384, p=.018). The subjec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0.314, p<.001)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r=-0.447, p<.001). Interpers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prioritize strategies that aim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interpersonal satisfaction as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혜순,김윤영. (2023).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6), 125-135

MLA

현혜순,김윤영.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6(2023): 125-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