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b-based Writing Rating Criteri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유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385~39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쓰기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쓰기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웹 기반 쓰기 도구 중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Wiki 도구인 Google Docs 기반의 쓰기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결과와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검토하여 웹 기반 쓰기 평가를 위한 평가 요소를 추출한 후, 전문가 협의와 중요도 평정을 통해 척도별 응답 비율, 평균, CVR, CVI를 산출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Two-facet Rasch 분석을 통해 평가 기준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웹 기반 쓰기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은 총 9개의 평가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중요도 평정 결과 국어교육 전문가들은 웹 기반 쓰기에서 글씨체와 크기, 프레임, 하이퍼링크와 같은 시각적 스타일보다는 쓰기 목적에 맞게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어교육 전문가들은 각 평가 기준의 중요도에 대해 차별적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한 웹 기반 쓰기 평가 기준은 학생들의 웹 기반 쓰기 능력에 대한 정보를 얻고, 웹 기반 쓰기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을 구안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riting evaluation by developing rating criteria for web-based writing evaluation.
Method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develop rating criteria for writing evaluation based on Google Docs, a wiki tool that is actively used among web-based writing tools. To this e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language and media’ textbooks were reviewed to extract web-based evaluation elements. After that, by expert discussion and by calculating the response ratio, average, CVR, CVI of the importance on rating criteria,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Finally, infit MnSq of the rating criteria were examined through Two-facet Rasch analysis.
Results First, the rating criteria for web-based writing evaluation consist of a total 9 10 rating criteria. Second,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rating,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consider presenting information for purposes more important than visual styles such as font, size, frames, and hyperlink in web-based writing. Third,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had a discriminatory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rating criterion.
Conclusions The web-based writing rating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i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students' web-based writing skills and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to enhance web-based writing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통령 취임사의 문법적 특징 연구
-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조망과 지리 교과의 역할 고찰
- 초등학생의 집행기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아버지와 어머니의 문화성향이 아버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생의 학업부진 경험과 대처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 부모의 자녀학대를 발견한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아동학대 신고과정 경험연구
- Examining Learners’ Perception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 Focusing on UNESCO’s Conceptual Framework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미디어 이용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중도장애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미술활동이 여성노인의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를 위한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 개발
-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환자안전 역량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자해’관련 유튜브 댓글의 내용분석
-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 실생활 활동지를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중등 양자물리학 교육 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에 따른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 차이 분석
- 과정적 실재로서의 R&D기획 전문성 육성방안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코로나 19 이후 경호 관련 학과의 사회적 인식 분석
- 영유아교사의 성격 6요인(HEXACO)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
- 예비사회복지사 만학도의 학습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장애인을 그린 우수 그림책 특성 검토
- 심미적 체험 기반의 과학관 전시기획 프로세서 제안
-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시민의식 개인별 변화궤적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 연결된 시대의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서 커넥티드 러닝(Connected Learning)방법론에 대한 탐색
- 제조업 엔지니어의 무형식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 그들은 왜 교차지원을 했는가?
-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핵심감정에 따른 역전이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임상간호사가 인식한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안전분위기, 비판적 사고성향이 투약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Evaluation of a fully online flipped teaching course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학교육의 과제와 방향
- 부부관계 유대감과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코로나19 시대에 원격교육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사회지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웹 기반 쓰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 고등학생 대상 다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202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 IB MYP 월드스쿨 교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자연물을 활용한 흙 놀이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중급 전임 남성상담사의 성역할 정체성 경험연구
- 교실 공간으로서의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참여적 전시의 의미
- 한국판 온·오프라인 사회적 거부민감성 척도(O2S3)의 타당화
-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블렌디드 러닝 국악수업 설계 및 사례연구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노인난청의 청능훈련프로그램 사례연구
-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내용 및 교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 건강 문해력이 낮은 노인을 위한 약물 교육이 약물 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SW·AI교육 연구동향 분석
- 유아기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어려움과 바람
- 학령인구 감소 연구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실천적 지혜에 기반한 대학 PBL수업에서 교수자의 역할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6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