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리먼(M. Freeman)의 ‘다시 쓰는 자아’

이용수 160

영문명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oral Development Based on M. Freeman’s Rewriting the Self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재호(Lee Jae 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3호, 1197~121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종래의 자아에 관한 논의 방식과는 달리 도덕성 발달과 내러티브와 관련지어 새로운 방식으로 논의하고 있는 Freeman의 자아관을 탐색하는 데 있다. Freeman의 자아관은 크게 두 가지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하나는, 종래의 자아관이 자아의 현상태와 이상태를 설명하고 규정하는 ‘현상설명의 정태적 이해’의 논의 방식을 취했다면, Freeman은 자아의 변화와 성장을 고려한 형성의 문제에 근거하여 인격 함양을 위한 ‘사태실현의 동태적 이해’의 논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덕성 발달이라는 것이 시간 계열의 경험적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점과 도덕교육이라는 실천적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둘 때, 후자의 논의 방식은 자아의 문제를 교육의 실천사태와 연결지어 풍부하게 논의할 수 있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른 하나는, 도덕성 발달은 시간상 나중에 오는 것이 가치 있다는 원리에 따라 비유컨대 앞으로 나아가는 데 초점을 둔다. 그러나 사정은 오히려 정반대이다. 내러티브는 인간 내면으로의 회귀를 지향한다. Freeman이 제안하는 ‘좋은 것에 관한 대화’로서의 내러티브는 자아의 삶을 되돌아보도록 하는 회상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활동 또한 반성과 성찰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최근 수업실천에서 내러티브가 주목받고 있다는 사실은 바로 이 점과 관련하여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ark Freeman s Rewriting the self that discusses the problem of self in a new way in relation to moral development and narrative, unlike the conventional way of discussion about self. According to the study, Freeman s rewriting the self offers two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Firstly, while the conventional perspectives of self took the form of discussion of the static understanding for the explanation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ideal state of self, Freeman took the form of discussion of the dynamic understanding for realizing of the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based on the problem of 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and growth of self. With that in mind moral development takes place at the empirical dimension and should consider the practice of education, The latter suggests that a shift in perspective is needed to discuss the issue of self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education. Secondly,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moral development focuses on moving forward, on the principle that it is worth coming later in time. But the matter is rather the opposite. The narrative aims to inward turn of human mind. Freeman s suggestion of narrative as ‘dialogue about the good’ is fundamentally retrospective concept, and its activity also features reflection in human mind. In this regard, the fact that narratives are attracting attention in recent instructional activity should be re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above point of view.

목차

Ⅰ. 서론
Ⅱ. 발달의 목적 문제, 그리고 자아의 변화와 성장
Ⅲ. 자아와 내러티브의 성격, 그리고 도덕성 발달의 경로
Ⅳ. 논의: 도덕교육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호(Lee Jae Ho). (2020).프리먼(M. Freeman)의 ‘다시 쓰는 자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3), 1197-1214

MLA

이재호(Lee Jae Ho). "프리먼(M. Freeman)의 ‘다시 쓰는 자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3(2020): 1197-1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