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학중 집중학습을 통해 살펴본 TOEIC 학습자의 ‘이해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에 대한 고찰
이용수 266
- 영문명
- Research on TOEIC Learners’ ‘Comprehensible Input’: Focused on TOEIC Intensive Course during the Va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성은(Cho Seong-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33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TOEIC 집중과정에 참여한 262명의 TOEIC 모의고사 결과를 토대로 Krashen의 ‘입력가설’을 적용함으로써, 특정 점수대별 학습자의 TOEIC 관련지식 ‘i’와 집중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이해가능한 입력 ‘+1’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ETS의 기준에 따라 전체 학생을 3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별 ‘i’에 대하여 영역별, 파트별로 살펴본 후 4주 학습기간 동안 매주 실시한 모의토익 점수를 중심으로 그룹별 ‘i+1’를 영역별, 파트별로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2018년 12월 31일부터 2019년 1월 25일까지 A 대학에서 실시한 토익 집중과정에 참여한 재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총 5회 실시한 모의토익 결과를 포함한다. 자료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IBM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별 ‘i’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해가능한 입력 ‘+1’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영역별로는 G1 그룹의 경우 LC에서는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G2와 G3 그룹의 경우는 RC의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다. 각 영역 내에서 파트별 차이도 두드러졌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TOEIC 교육에 있어 학생의 ‘i’에 따른 적절한 ‘+1’을 위한
학생 그룹 구분뿐만 아니라 중점이 되어야 하는 교육영역 및 파트 선정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OEIC learners’ comprehensible input proposed by Stephen Krashen(1982).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OEIC score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intensive TOEIC course during the winter vacation from 2018 to 2019, the researcher intended to identify TOEIC learners’ ‘i’ and ‘+1’ shown on
each section(LC & RC) and part(part 1 through 7) as well as the total scores. Participating stud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 standard stipulated by Education Testing Services. In terms of ‘i’, the three groups have shown similar results through the similar strength on each section and part. However, each group’s
‘+1’ was to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G1 group(under 350) showed higher improvement on LC section while G2(350-550) and G3(over 550) showed higher improvement on RC section. Moreover, each group showed different improvement on each part. Through the result, it is expected to design different teach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tudents’ existing TOEIC scor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정서능력과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간의 관계분석
- 예비수학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개발 활동이 디지털교과서 효과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비교과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숨은그림찾기 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전전두엽 실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학교폭력 피․가해 학생 상담프로그램이 외상후성장에 미친 영향
-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 아동의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이 경험하는 동료장학과 컴페션(compassion)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긍정적 감정과 집단적 자긍심을 매개로
- 고등학교『생활과 윤리』교과서에 나타난 결혼을 매개로 한 가족 윤리의 내용 분석
- 예비 중등특수교사의 체육학습공동체 활동경험과 교사교육관점에서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스포츠리듬 트레이닝이 초등학생 배드민턴 선수의 학생건강체력과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간호학과 전공심화과정 보건의료와 간호정책 교과목에서 팀기반 학습의 효과
- 교육학에서의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 기초간호과목 블렌디드 러닝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PISA 2015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수학 하위범주를 중심으로
-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학생 글 평가 특성의 비교
- 신문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 5세 유아의 리더십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문헌연구를 통한 영어전용강좌(EMI)의 교육적 효과 분석
-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정약용의 인성론과 도덕과 교육 시사점
- 교육공동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중요도-실행도를 중심으로
-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학업동기 프로파일
- ‘학생 중심 수업 관찰’을 적용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에 관한 인식 탐구
- 자살태도와 도움관련 의도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복잡성 및 정확성 연구 -숙달도 측정 지표로써의 활용 가능성-
- 자기주도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영화와 글쓰기 활용 PBL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B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 동향 분석 - 중·고등학생 대상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 예비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영아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실천적 독도교육 방향 모색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 표지 교수·학습 연구: ‘그러게, 그러니까’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관련 경험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 사범대학 재학생의 대학생활 특성 탐색
- A teacher’s role in the academic socialization process of a group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 Korean EFL classroom
- 방학중 집중학습을 통해 살펴본 TOEIC 학습자의 ‘이해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에 대한 고찰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싱킹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영재학생에게 기업가정신과 STEAM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원전지역 주민참여형 에너지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여대생이 지각한 심리적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실연 경험과 수업 어려움 연구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게임놀이와 연계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 예비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 교과교육론(상담)교과목의 운영 및 개선 사례연구
- 대학수업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 연구
- 초, 중 전환기 학생의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 Exploring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ern Thai Classrooms
-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바깥놀이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 탐구
- 커뮤니티매핑 활동이 예비교사의 지리공간기술의 교육적 활용성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 데이트 폭력의 실태와 예측요인 탐색
-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른 유아의 행동 특성 분석
- 협동적 문맥활용 어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육연구의 효과 비교를 위한 메타분석
-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업 사례 연구
- 한국 대학의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 연구
- 미용교육 현장실습 구성요인이 만족도 및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문법 영역 평가 문항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응시자 요인 탐색을 위한 교사의 역할
- Wee센터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Wee센터 상담실무자의 인식: ASCA 학교상담모형을 중심으로
- 다문화 사회·정서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사의 학교 정치참여교육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교육문제연구 제93집 목차
- 코로나19를 경험한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와 전이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