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 숲 과목 운영 사례

이용수 0

영문명
Case study of children’s forest course op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gen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명순(Myoung-Soo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965~98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행위 주체성의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S교수의 유아 숲 교과목 운영 사례를 탐색한 논문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3년 1학기에 개설된 숲 과목의 숲 놀이 수업을 참관하고 문화 기술적 면담 방식으로 S교수를 인터뷰하여 수업 개발 및 운영을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업 관찰 및 면담내용을 토대로 주요단어와 개념 위주로 코딩을 하고 생태학적 접근에 따라 구조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반복적 차원에서 숲 전문가와 유아교육자로서의 과거 경험은 유아교육의 프레임 아래 체계적인 숲 교과 운영으로 나타났다. 투영적 차원에서 숲을 편안하게 느끼는 교사, 숲 놀이 활동을 만드는 교사, 자연과 공생하는 교사라는 유아 숲 교사의 비전은 교수 방법으로 표출되었다. 실천적-평가적 차원에서 S교수는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유아의 눈높이에 맞는 한국형 유치원 숲 체험교육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학생들에게 안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S교수의 행위주체성은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높이고 유아 숲 교사로 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결론 숲 교과목 운영은 교수자의 생애사와 교직경험, 그리고 숲 교육과 유아교육에 대한 비전의 토대 위에 B대학의 맥락에 맞게 교과목을 운영하는 행위주체성이 발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유아교사 역할을 위해서 학생들이 양성과정의 교과목에서 무엇을 경험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paper that explores Professor S’s case of operating a forest subject for children ba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agency. Methods To this end, we observed the forest play class of the forest subject open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and interviewed Professor S using a cultural technology interview method to qualitatively study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lass. Based on the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 contents, we coded the main words and concepts and conducted a structural analysis according to an ecological approach.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t an iterative level, past experience as a forest expert and early childhood educator resulted in the systematic operation of forest curriculum under the fram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projective level, the vision of the children's forest teacher as a teacher who feels comfortable in the forest, a teacher who creates forest play activities, and a teacher who coexists with nature was expressed through teaching methods. At the practical-evaluative level, Professor S was found to practice Korean-style kindergarte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ailored to the child's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level and guide the students. Professor S's agency like this contains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increasing students' agency and supporting them to start as children's forest teachers. Conclusions The operation of the forest course was shown to be an expression of the agency to operate the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University B based on the professor’s life history, teaching experience, and vision for forest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is, we proposed what students should experience in the course of the training course in order to play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curriculum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숲 교과목 운영에서 교수자의 행위 주체성 탐색
Ⅳ. 숲 교과목 운영에서 교수자 행위 주체성의 의미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순(Myoung-Soon Lee). (2024).행위주체성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 숲 과목 운영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965-981

MLA

이명순(Myoung-Soon Lee).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 숲 과목 운영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965-9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