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몸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인식 조사

이용수 0

영문명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aphor recognition of children’s physical pla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주원(Joo Won Kim) 김정희(Jung Hee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473~48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동작놀이 및 신체놀이, 전래놀이, 몸짓놀이를 포함한 유아 몸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며 그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소재 유아교사 160명 대상 320장의 설문지 중 총 304장에 대한 메타포를 Krippendorf의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명명하기, 분류하기, 단위결정, 범주화, 신뢰도, 분석하기의 여섯 단계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 몸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경향성을 알아본 결과, ‘즐거움’이란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다음은 ‘자유로움/자유’, ‘본능’, ‘생각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몸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인식을 알아본 결과, 유아 몸놀이를 ‘기쁘고 즐겁고 행복한 몸놀이’, ‘전인적 발달을 돕는 본능적인 몸놀이’, ‘자유롭게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몸놀이’, ‘새롭고 독창적이며 다양한 몸놀이’, ‘함께 소통하며 모방하는 몸놀이’, ‘어디로 튈지 알 수 없어 위험한 몸놀이’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유아 몸놀이는 유아들이 가장 좋아하며 즐겨하는 놀이로 전인적 발달에 긍정적임을 유아교사도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안전상의 이유로 몸놀이를 제한하기보다 다양한 몸놀이가 가능한 놀이환경 개선 및 사회와 부모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마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physical play, including movement play, physical play, traditional play, and gestural play, and seeks to identify trend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4 metaphors out of 320 questionnaires for 16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sangnam-do were analyzed according to Krippendorf's content analysis method through a six-step procedure of naming, classifying, unit determination, categorization, reliability, and analysi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metaphors for children’s physical play, the word ‘fun’ was used the most, followed by ‘freedom/freedom’, ‘instinct’, and ‘thought ex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metaphorical perceptions of children’s physical play, children’s physical play was defined as ‘happy, joyful and happy body play’, ‘instinctive body play that helps holistic development’, and ‘body play that freely expresses thoughts and emotions.’, ‘new, original and diverse body play’, ‘body play that communicates and imitates together’, and ‘body play that is dangerous because you don't know where it will go’. Conclusions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recognized that children's physical play is the play that children enjoy the most and that it is positive for their holistic development. However, rather than restricting physical play for safety reason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required to improve play environments that allow for a variety of physical play and to secure support from society and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원(Joo Won Kim),김정희(Jung Hee Kim). (2024).유아 몸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473-489

MLA

김주원(Joo Won Kim),김정희(Jung Hee Kim). "유아 몸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473-4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