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과목 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과 요구 탐색: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서윤희(Yoon Hee Seo) 김봉영(Bongyoung Kim) 윤아영(Ahyoung Y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579~6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과목(교직이론, 교직소양) 수강 경험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여 교직과목 개선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총 1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4명씩 구성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직과목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인식을 갖고 있으며, 각 그룹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년제 아동 관련 학과로 이루어졌다. 인터뷰는 2024년 4월부터 5월 사이에 비대면 실시간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자는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참여자들이 경험과 인식을 공유하도록 유도하였다. 참여자의 의견이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인터뷰 전 과정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여러 포커스 그룹에서 나타난 주제를 지속적으로 비교하는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constant comparison analysis)을 사용하여 그룹 간 나타난 주제를 비교하고, 각 그룹의 발언을 반복적으로 검토하여 데이터 포화에 도달할 때까지 주요 패턴과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직과목을 이수하며 얻은 지식을 교육 환경과 연계 짓고 성찰적 탐구자로서 교사 자아를 성장시켜 가고 있었다. 교직과목을 통해 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육관 정립, 유아에 대한 이해, 교육 공동체 및 사회적 동향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됐고, 예비교사로서의 효능감 증가를 보고 하였다. 그러나 중등 교육 중심 교직과목 운영에 대한 소외감 인식과 교직과목의 현장 연계성 부족에 대한 문제점도 동시에 제기되었다. 또한, 유아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직과목 및 운영에 대한 필요성과 교직과목 교수자의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을 개선할 필요하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새로운 교직이론 과목에 대한 요구에 대해서는 ‘교사의 복지와 권익에 대한 과목’, ‘유아에 대한 정서적 지원을 위한 과목’, ‘미래 사회와 문화적 다양성 이해에 대한 과목’, ‘학부모와 소통과 협력에 관한 과목’, ‘교육과정의 이해에 관한 과목’이 제안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 교육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커리큘럼 개발’, ‘교육실습과 현장 경험 강화’, ‘교직과목 교수진의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교직과목 개선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with teaching profession courses(teaching theory and professional disposition cours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cours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ed into three groups of four members each. The participants, who varied in their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teacher profession courses, were grouped by academic background: a four-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nd a four-year child-related studies program.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remotely in real-time via video conferencing between April and May 2024. The researcher facilitated the sessions, encouraging participants to freely share their experiences and insights. To ensu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participants' viewpoint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data analysis,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employed to identify recurring themes and patterns by continuously comparing topics emerging from the focus groups. This process was repeated until data saturation was reached,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key patterns and themes across group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ble to connect the knowledge gained from teaching profession courses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The courses were helpful in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education, establishing educational philosophies,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and grasping trends within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society, all of which contributed to increased self-efficacy as pre-service teachers. However, issues were also raised regarding a sense of alienation due to the secondary education-focused operation of teaching profession courses and a lack of connection to practical fieldwork. Additionally, there was a recognized need for courses tailored to the unique asp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or instructo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Suggestions for new pedagogical theory courses included topics such as “Teacher Welfare and Rights,” “Emotional Support for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Future Societies and Cultural Diversit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Understanding Curricula.”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 courses, focusing on “developing a tailored curriculum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rengthening educational practice and field experience,” and “improving the expertise of teacher education facul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윤희(Yoon Hee Seo),김봉영(Bongyoung Kim),윤아영(Ahyoung Yoon). (2024).예비유아교사의 교직과목 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과 요구 탐색: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579-602

MLA

서윤희(Yoon Hee Seo),김봉영(Bongyoung Kim),윤아영(Ahyoung Yoon).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과목 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과 요구 탐색: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579-6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