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행동활성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세영(Seiyoung Kim) 양승희(Seunghee Y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899~9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을 시행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국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의 선행 연구의 결과를 종합 효과 분석하여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함이다. 방법 2002년부터 2023년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통하여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을 시행한 자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한 후 PICOS 기준에 맞추어 분류하여 최종 총 15편을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선정하여 소프트웨어 CMA version 3를 사용하여 메타분석 하였다.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464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내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종속변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최종 하위분석 단위에서의 종속변수인 15가지의 유형 중 음성수준(1.313), 정서(1.178), 삶의 질(.770), 우울(.703), 금연효과(.6), 행동활성화 수(.457), 양성수준(.439), 불안(.309), 인지(.196)순으로 9가지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설계 효과 크기는 통제집단전후추후(.619), 통제집단전후(.606)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단일집단사전사후(.195)는 낮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전공분야로는 사회학(.505) 심리학(.413)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중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조절변수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 중 대상자로써 병원(.805) 일반인(.451) 지역사회(.323)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운영방법으로 온라인(.216) 오프라인(.582) 모두 유의한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나 오프라인이 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질병에 따른 효과크기는 불안(.542), 우울(.419), 조현병(.402) 순서대로 모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회기수는 12회기(.839)가 제일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회기별 운영시간은 30분 이하(.649) 61-90분(.499) 31-60분(.357)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전체시간은 6시간 미만(.649), 9시간 이상에서 12시간 미만(.602), 12시간 이상에서 15시간 미만(.552), 15시간 이상(.754)은 큰 효과크기를 6시간 이상에서 9시간 미만(.271)은 작은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행동활성화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효과성을 입증하였고, 행동활성화를 시행하는 현장에서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입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실질적 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previous studies of the domestic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targeting subjects who implemented the domestic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Methods From 2002 to 2023,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earch terms ‘behavioral activation’ and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ICOS criteria, and a total of 15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zed using software CMA. Results The overall effect size was .464, which is a medium effect size, proving that the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is effe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among the 15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in the final sub-analysis uni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9 areas in the following order: negative level (1.313), emotion (1.178), quality of life (.770), depression (.703), smoking cessation effect (.6), number of behavioral activations (.457), positive level (.439), anxiety (.309), and cognition (.196). The effect size in the experimental design showed a high effect size in the order of control group pre-post-post (.619) and control group pre-post-post (.606), and a low effect size in the single group pre-post-post (.195). In terms of major fields, both sociology (.505) and psychology (.41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ing a medium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effect size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ator program, the effect size was in the order of hospital (.805), general public (.451), and community (.323) as the subjects. By operation method, both online (.216) and offline (.582) showed significant effect sizes, but offline showed a larger effect size. By disease, the effect sizes were in the order of anxiety (.542), depression (.419), and schizophrenia (.402), and 12 sessions (.839)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The effect size by session operating time was in the order of 30 minutes or less (.649), 61-90 minutes (.499), and 31-60 minutes (.357). The total time showed a large effect size for less than 6 hours (.649), 9 to 12 hours (.602), 12 to 15 hours (.552), and 15 to 15 hours (.754), while 6 to 9 hours (.271) showed a small effect size. Conclusions This study was the first in Korea to conduct a meta-analysis targeting behavioral activation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and is significant in providing practical data on how to intervene with more effective programs in the field of behavioral acti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영(Seiyoung Kim),양승희(Seunghee Yang). (2024).행동활성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899-922

MLA

김세영(Seiyoung Kim),양승희(Seunghee Yang). "행동활성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899-9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