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장애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of Students with Acquired Disabiliti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노승현(Seunghyun Ro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117~12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장애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도장애 대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 및 눈덩이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과 AMOS 23.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과 척도의 신뢰도 검증(Cronbach’s α)을 하였다. 주요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심리적 독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각 변인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심리적 독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심리적 독립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심리적 독립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없으나 진로적응성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둔다. 중도장애 대학생은 신체적 변화로 인한 새로운 적응이 요구되기 때문에 심리적 독립을 이루기가 쉽지 않으며 자신의 장애를 수용한 후 주체성을 바탕으로 자율성을 획득할 때 진로적응성이 증진되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질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acquired disabilities. Methods For this study, 162 students with acquired disabilities in four-year university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SPSS 26.0 and AMOS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Cronbach‘s α) were conducted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normality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analyzed using AMOS 23.0, and bootstrapping was appli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Seco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psychological separation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it can affect career adaptability through mediation. It is not easy for college students with acquired disabilities to achieve psychological separation because new adaptation is required due to physical changes, and it suggests that career adaptability will increas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will increase when autonomy is acquired based on agency after accepting their dis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승현(Seunghyun Roh). (2024).중도장애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117-129

MLA

노승현(Seunghyun Roh). "중도장애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117-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