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 실태 분석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Support Programs for Young Adults in Prolonged Social Withdrawa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영아(Youngah Cho) 이윤희(Yunhee Lee) 김지연(Jiyeon Kim) 곽미선(Misun Kwa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375~39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은둔고립 청년 지원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형태인 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 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귀납적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총 23개 기관에서 최근 3년간 운영된 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 150개를 은둔고립 청년 당사자, 가족, 지원인력 프로그램으로 구분하고 프로그램의 내용, 지원 시기 및 방법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은둔고립 청년 당사자 지원 프로그램은 ‘교육 및 활동’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기이해 및 자기회복’, ‘관계형성’, ‘기본적 일상생활건강’의 내용이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은둔고립 청년 가족 지원 프로그램 역시 ‘교육 및 활동’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은둔자녀 특성 이해’, ‘자기이해 및 자기회복’, ‘자녀와의 소통방법’의 내용이 많이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은둔고립 청년 지원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일반인’, ‘은둔고립 경험자로서 동료 조력자’, ‘전문상담가’, ‘기관 실무자’ 등이 지원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원인력 대상별 프로그램 내용이 상이하였으나 ‘은둔고립 청년 특성’과 ‘소통기술’ 내용을 상대적으로 많이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들은 은둔고립 상태에 개입하는 프로그램이 대다수였으며, 오프라인으로 운영되는 지원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은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 지원인력 등 당사자를 둘러싼 다양한 대상을 포함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대상에 따라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내용은 조금씩 상이하였다. 현재는 ‘교육 및 활동’ 형태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청년들의 은둔고립 수준과 원인이 다양한 만큼 향후에는 개별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이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은둔고립 청년에 특화된 전문 지원인력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기에 은둔고립 청년 지원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지원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은둔고립 청년 문제에 대한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만큼 향후 프로그램들은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의 프로그램들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actical and specific forms of support programs for social withdrawal and isolated young adults. Methods In this study, an inductive data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150 support programs for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that have been operated over the past three years by a total of 23 organizations providing isolation and withdrawal programs. The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ose for the young adults themselves, those for their families, and those for staff. The analysis focused on the content of the programs, as well as the timing and methods of support provided. Results The analysis yielded a number of significant findings. First, among the support programs for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s represented the largest proportion, with a notable emphasis on “self-understanding and self-recovery,” “relationship building,” and “basic daily living and health.” Secondly, among the support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s were also the most prevalent,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ithdrawn children,” “self-understanding and self-recovery,” and “methods of communicating with children.” Thirdly, training programs for individuals engaged in the care of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tegories: “general public, ” “peer supporters with withdrawal experience,” “professional counselors,” and “organizational staff.” While the content of the programs differed according to the target group, there was a notable empha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and communication skills. Additionally, the majority of support programs for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sought to intervene in the withdrawal state, with a relatively larger number of support programs provided offline. Conclusions The program of support for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is not only designed to assist the individuals themselves, but also to engage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their families and support staff. Furthermor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program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target group. At present, the program is predominantly oriented towards “education and activities.” However, given the heterogeneous levels and causes of social withdrawal among young adults, there is a necessity for the expansion of individualized counseling programs in the future. Moreover, there is a deficiency in the availability of specialized personnel who are trained to provide support for individuals who have been socially withdrawn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a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that are design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se support workers. In light of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challenges faced by socially withdrawn young adults, it is imperative that future programs adopt a long-term and systematic approach to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아(Youngah Cho),이윤희(Yunhee Lee),김지연(Jiyeon Kim),곽미선(Misun Kwak). (2024).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 실태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375-392

MLA

조영아(Youngah Cho),이윤희(Yunhee Lee),김지연(Jiyeon Kim),곽미선(Misun Kwak). "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 실태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375-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