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류세 시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유아교육적 담론 및 함의

이용수 0

영문명
Understand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Anthropocene Er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효진(Hyo-Ji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603~62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5년간 유아교육분야에서 논의되는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동향 및 교육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관련 쟁점들을 분석하여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놓여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분야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다양한 문헌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분석 및 해석하고 학문적 탐구 방식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Ⅱ장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유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확장된 사유 스펙트럼을 토대로 Ⅲ장에서는 문헌을 통해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적 담론의 의미를 분석하고, Ⅳ장에서는 국내 지속가능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에의 함의를 고찰하여,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제언을 Ⅴ장에 기술하고자 하였다. 결과 유아교육분야에서 다뤄지는 지속가능발전교육 담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성,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새로운 교과 영역 추가 차원이 아닌 교육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 전환이자 새로운 삶의 지향점으로 인식하고 접근하는 것이 주요하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개념적 기원과 실천의 역사에서 환경교육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이제는 단순히 환경교육을 넘어서 그 경계를 확장하고 진화한 개념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셋째, 학교교육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에 해당 핵심 가치와 내용이 반영되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강조하는 변화의 능동적 주체로서 유아를 바라보는 관점은 유아의 참여권리 확장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나아가 주요 담론 속 내재된 쟁점분석을 토대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유아교육적 해법을 찾기 위해 탈인간중심적 관점, 신유물론적 페미니즘(관계주의),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본 교육 패러다임 전환 이해, 국가수준교육과정의 의미, 세계시민교육과의 연계, 교육과정의 지역화, 교사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함의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은 어떻게 이해되고 재정향 되어야 하는지를 모색할 수 있으리라 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rends and educational discourses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ver the past 10 yea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alyze related issues, and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To this end, Chapter II expands the spectrum of thinking about sustainability, Chapter III analyzes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on sustainability discuss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Chapter IV examines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and describes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 Chapter V. Results As a result, the discours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nd approach sustainability,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paradigm shift and new life orientation across education rather than an additional dimension of new subject areas. Second, it should be clarified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roo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history of conceptual origin and practice, but now it is a concept that has expanded and evolved beyond just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in order to settle in school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the core values and contents must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urth,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a child as an active subject of change emphasized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expanding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 Furthermore,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sustain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issues inherent in the main discourse, it was tri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various aspects such as understanding the paradigm shift from a posthuman-centered perspective, neo-materialistic relationalism, and community-based perspective,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 meaning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connection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should be understood and redirected in the fut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인류세 시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유 스펙트럼 확장
Ⅲ. 쟁점중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담론의 의미 이해
Ⅳ. 지속가능한 유아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교육적 함의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진(Hyo-Jin Kim). (2024).인류세 시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유아교육적 담론 및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603-628

MLA

김효진(Hyo-Jin Kim). "인류세 시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유아교육적 담론 및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603-6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