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용전공 학생을 위한 창의적 마인드셋 척도(CMS)의 측정 불변성과 잠재평균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Analysis of the Creative Mindsets Scale(CMS) for Danc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창모(CHANGMO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423~43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상황에서 국문판 창의적 마인드셋 척도(Creative MIndsets Scale; Karwowski, 2014)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이 척도가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비교하는 데 두었다. 방법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예술고등학교와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553명의 학생들(고교생 257명, 대학생 296명)이 창의적 마인드셋과 창의적 내재적 동기 및 창의적 성취를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결과 성장 창의적 마인드셋과 고정 창의적 마인드셋으로 구성된 2요인 측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하였으며(²= 128.35, df=34, CMIN/DF=3.77, CFI=.996, TLI=.946, SRMR=.050, RMSEA=.071), 신뢰도의 지표인 Cronbach’s ɑ와 McDonald’s 는 모두 0.80 이상의 계수를 보였다. 창의적 마인드셋은 창의적 내재적 동기와 창의적 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예측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간 형태 동일성(기저모형)은 완전 불변성이 성립된 반면에, 메트릭, 스칼라 및 요인분산 동일성은 부분적으로 성립되었다. 또한 고등학생 집단이 대학생 집단보다 더 높은 성장 마인드셋 점수를 보였지만, 대학생 집단은 고등학생 집단보다 고정된 마인드셋에서 더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창의적 마인드셋 척도가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무용관련 창의성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측정도구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무용을 지도하는 교·강사는 학생들에게 무용관련 창의성과 재능이 학습과 노력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validat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two-factor, 10-item Creative Mindsets Scale (Creative MIndsets Scale; Karwowski, 2014) amo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analyz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of the scale. Methods A total of 553 students (257 high school students and 296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arts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ponded to questionnaires measuring creative mindset, intrinsic creative motivation, and creative achievement.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internal consist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e two-factor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growth creative mindset and fixed creative mindset was well-fitted to the data (² =128.35, df=34, CMIN/DF=3.77, CFI=.996, TLI=.946, SRMR=.050, RMSEA=.071), and both Cronbach's ɑ and McDonald's for reliability were above 0.80. Predictive validity was established with creative mindset having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creative motivation and creative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 groups were fully invariant in terms of form identity (underlying model), while the metric/scalar/factor variance identity was partially confirmed. Furthermore, while the high school group scored higher on growth mindset than the college group, the college group scored higher on fixed mindset than the high school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reative Mindset Scale can be used to measur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eliefs about their dance-related creative abilities, a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re needed to promote the beliefs of dance students and professional dancers that creativity and talent can be developed through learning and eff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창모(CHANGMO PARK). (2024).무용전공 학생을 위한 창의적 마인드셋 척도(CMS)의 측정 불변성과 잠재평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423-439

MLA

박창모(CHANGMO PARK). "무용전공 학생을 위한 창의적 마인드셋 척도(CMS)의 측정 불변성과 잠재평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423-4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