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Based on Bloom's new educational target taxonomy Analysis of 2022 Revised Technology an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함형인(Hyungin Ha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563~57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중·고등학교 기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중학교 97개, 고등학교 51개, 총 148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대상인 148개의 성취기준은 연구자와 코더 1인이 분석틀에 따라 각자 분석한 후 협의의 과정을 거쳤으며, 외부 전문가(기술교육과 교수 1명, 기술교육 박사학위 소지자 1명) 2인으로부터 분석 결과를 검증받았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중·고등학교 기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었다. 지식 차원에서는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절차적 지식이 가장 낮았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가장 높았으며, ‘기억하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성취기준 분석 결과 지식 차원에서 중학교는 메타인지 지식, 고등학교는 개념적 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중학교는 ‘이해하다’, 고등학교는 ‘이해하다’와 ‘분석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교 모두 절차적 지식의 분포가 적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해 기술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식 차원에서 절차적 지식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성취기준에 다양한 인지과정의 하위요소를 포함하여 교육과정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시 학교급에 따른 인지과정을 위계할 필요가 있으며, 성취기준 진술 방식을 명확하게 표현하여 하나의 문장에 하나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이 반영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2022 revised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an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148 achievement standards, 97 middle schools, 51 high schools, were analyzed based on Bloom's new educational target taxonomy. The 148 achievement standards, which were the subject of analysis, were analyzed by a researcher and a coder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 and then negotiat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by two external experts (one professor in the technologtyl education department and one doctoral degree in technologyl education).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2022 revised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an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s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In terms of knowledge, metacognitive knowledge was the highest and procedural knowledge was the lowest.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and ‘remembering’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chievement criteria by school level, metacognitive knowledge in middle schools and conceptual knowledge in high schools were high in terms of knowledge, a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understanding’ in middle schools and ‘understanding’ and ‘analysis’ in high schools were high. Third,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showed less distribution of procedural knowledg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and procedural knowledge at the knowledge level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subje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d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clearly communicated by including various sub-elements of cognitive process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urthermore, when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hierarchize the cognitive proces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so that a singl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can be reflected in a single sentence by clearly expressing the method of stating achievement standar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형인(Hyungin Ham). (2024).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563-578

MLA

함형인(Hyungin Ham).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563-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