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디자인씽킹 기반 유아교수매체 강좌 수강의 과정과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Process and Significa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a Design Thinking-Based Early Childhood Teaching Media Cours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효인(hyoin Yo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725~74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디자인씽킹 기반 유아교수매체 수강의 과정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놀이를 중심으로 한 예비유아교사의 놀이매체 지원 역량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4년제 C 대학의 유아교수매체를 수강하는 유아교육과 2학년 29명, 4학년 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디자인씽킹 과정을 기반하여 강의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 자료는 강의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포트폴리오와 반성적 저널 및 연구자의 연구노트이다. 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유아교수매체 수강의 과정과 의미는 첫째, 놀이를 반복해서 들여다보는 과정과 유아 놀이를 보는 것의 무거움을 느끼기, 둘째, 유아의 의견을 반영한 매체를 계획하는 과정과 계획을 바꾸며 모호함을 견디기, 셋째, 매체 제작에서 현장 맥락을 고려하는 과정과 매체 탐구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 느끼기, 마지막으로 매체를 공유하는 과정과 최고의 매체가 교사임을 깨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디자인씽킹 기반 유아교수매체 수강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 중심 놀이 지원 역량 증진에 도움이 되며 예비유아교사에게 다양한 교수매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과 놀이 매체 지원에서 유아 교사의 철학과 관점 정립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and significance of a course on early childhood teaching media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ultimate goal is to seek ways to enhance their capacity to support play-based media for young children. Methods The study selected 29 second-year students and one fourth-year student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C University, who were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media course. The course content was structured around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research data consisted of the pre-service teachers' portfolios, reflective journals, and the researcher’s note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key insights: first, the process of repeatedly observing children's play and the weight of understanding it; second, the process of planning media that reflects children's opinions, enduring ambiguity while changing plans; third, the need to consider the context of the field during media production and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explore media; and finally, the realization that the teacher is the best media during the process of sharing media.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urse on early childhood teaching media based on design thinking helps improve pre-service teachers' capacity to support child-centered play and provides them with specific information on various teaching media. Additionally,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teacher's philosophy and perspective in supporting play medi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효인(hyoin You). (2024).예비유아교사의 디자인씽킹 기반 유아교수매체 강좌 수강의 과정과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2), 725-742

MLA

유효인(hyoin You). "예비유아교사의 디자인씽킹 기반 유아교수매체 강좌 수강의 과정과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2024): 725-7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