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9
- 영문명
- The Effect of mother's family interactio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co-parenting and warmth parent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경(Park Eun Kyoung) 이희선(Lee Hee S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859~8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머니의 공동양육과 온정적 양육행동이 이중매개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PSKC)의 7차(2014)자료를 활용하여 1432명을 선정하였다.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v3.5를 사용하여 측정변수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의 Model 6번을 사용하여 어머니의 공동양육과 온정적 양육행동의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공동양육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공동양육,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의미한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과 공동양육 및 온정적 양육행동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이나 다양한 측면에서의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mother's co-parenting and warmth parenting behaviors have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he mother's family interaction on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432 people selected using the 7th (2014) data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PSKC).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v3.5,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co-parenting and warmth parenting behavior was examined using Process Macro's Model No. 6. Confirmed.
Results First,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mother's co-paren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verified. Secon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family interaction and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verified.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family interaction and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mother's co-parenting and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is conclusion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or programs that can improv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y providing evidence that family interaction, co-parenting, and warmth parenting behavior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