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이용수 22
- 영문명
- Cohort Isolation Experience of Psychiatric Nurses due to COVID-19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희(Kim, Gyung Hee) 황은미(Hwang, Eun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551~5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코호트 격리된 정신간호사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COVID-19 상황에서 3주 이상 코호트 격리된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snowball sampling 방식을 통해 2021년 7월 19일부터 12월 28일까지 자료의 포화가 될 때까지 심층면담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정신간호사 대상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코호트 격리 상황에서 경험의 의미를 Colaizzi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주제, 주제모음, 범주화 단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정신병원에 환자와 같이 코호트 격리된 간호사의 경험은 6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6개의 주제는는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불안함’, ‘병동 환경에 대해 재인식함’, ‘지원체계가 필요함’, ‘불안에 대처하는 활동을 함’, ‘이직을 생각함’, ‘정신간호사로 자부심이 향상됨’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코호트 격리에 대한 사전 설명이나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한 채, 일방적인 병원의 지시에 의해 코호트 격리된 것이 문제였다. 정신간호사들은 코호트 격리기간 동안 코호트 격리된 원인에 대한 분석과 이를 대처하기 위한 활동을 하면서 이직 갈등과 정신간호사로서 전문적 역할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는 경험을 하였다.
결론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경험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발생될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코호트 격리된 정신간호사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과 업무 효율을 위한 매뉴얼 개발, 보수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sychiatric nurses who were quarantined in cohort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9 to December 28, 2021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sychiatric nurses who were in cohort isolation for more than 3 weeks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psychiatric nurses,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cohort isolation was analyzed according into themes, sub-themes, and categorization stages according to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experience of nurses in cohort isolation, such as patients in psychiatric hospitals, was derived into six themes. The six themes were ‘anxious due to unpredictable situations’, ‘re-awareness of the ward environment’, ‘need a support system’, ‘do activities to cope with anxiety’, ‘think about changing jobs’, ‘ self-esteem improved as a psychiatric nurse.’ These results showed that cohort isolation was a problem under unilateral hospital instructions, without having any prior explanation or opportunity to judge cohort isolation. During cohort isolation, psychiatric nurses experienced the conflict of turnover and the meaning of their professional role as mental nurses while analyzing the causes of cohort isolation and working to cope with them.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psychiatricl nurses' cohort isolation experienc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support psychiatric nurses who are cohort- isolated in the event of a new infectious disease in the future, developing manuals for work efficiency, and maintenan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