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87
-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an art subject-link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art subjec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영은(YoungEun Son) 정동훈(DongHu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77~9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지금까지 방과 후 교육 중심으로 발명교육을 추진해 왔으나, ‘지식재산 인재양성 비전 2030’의 발표와 함께 정규수업 시간과 연계된 발명교육 실시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발명교육의 이런 추진 방향을 구체화 하기 위해 2022년에 정규교과목 3개와 연계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일선 학교에 미술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미술교과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즉 이번 연구는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 미술과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특성이 각각 어떠한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또한 미슬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미술과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도 조사하고자 했다.
방법 이를 위하여 3개 학교에서 18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시간에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고, 의미분별법 기반 개발⋅재구성된 조사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미술 교과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조사했다. 또한 미술 교과 연계 발명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미술과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05 유의수준에서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미술 교과 연계 발명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 모두에서 미술교과목에 대한 인식은 설문지(미술과목을 묘사한 반대적인 의미의 형용사쌍으로 구성) 에서 2~4점 사이의 데이터( 1~7 척도 기준) 를 보이면서 양쪽 극단적으로 치우친 값이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후에 미술과목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모두에서 양쪽 극단적으로 치우친 값이 없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기존 미술 과목 및 발명연계 미술 교과목에 대한 명확한 이미지가 만들어져 있지 않다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참여 전과 후에 인식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개발 후, 개발된 4개 주제 중 1개 주제를 4차시 전후 정도 학교별로 시범적용으로 적용했기 때문에 그 과목에 대한 인식이 변화가 의미 있게 이루어지기에는 시간의 한계가 있었다고 추론될 수 있다. 또한 교사연수 등의 부재로 개발의도가 잘 반영된 발명교육 적용의 한계가 있는 것 등도 그 원인으로 생각될 수 있다. 향후에는 이런 한계가 좀 더 보완된 후속연구의 수행을 통해 발명교육 참여 후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등이 좀 더 면밀히 조사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lthoug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the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have so far promoted invention education focused on after-school education,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2030 Vision of fostering intellectual property competency’, the organizations are actively promoting the implementation of invention education within regular class hours. To refine this direction of invention educatio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ree regular curriculum subjects was developed in 2022.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how the application of an art-relat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to schools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art subjects. In other word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art subject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art subject-link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lso,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art subjec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rt curriculum-relat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Methods For this purpose,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art class was implemented with 189 participating students in three schools during regular class hours. Then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art cla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using a survey develop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the semantic discrimination method. Additionally, a t-test was conducted at the .05 significance level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art class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rt class-related invention program.
Results Both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rt classes, there were no extreme values on either en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art subjects, with data ranging from 2 to 4 (on a scale of 1 to 7) on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airs of adjectives with opposite meanings describing art subjects). Als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rt subjec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 conclusion, since there are no extreme values both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it can be inferred that students do not have a set perception of art classes or invention-related art subjects. Additionally, the fact that the change in perception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y stem from the fact that only one topic out of four topics after development was applied on a pilot basis for each school for the duration of four sessions. Thu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time frame was too limited for meaningful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subject to occur. Also, it may be possible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applying invention education that accurately reflects the developer’s intent due to the absence of teacher training. In the future, through follow-up research that will be further supplemented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closely how students perceive the subjects after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프로그램 개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