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이용수 176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경숙(Kwon, Kyung-sook) 황인애(Hwang, In-ae) 이승숙(Lee, Seung-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149~1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하며, 교사 공동체 활동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며 경험한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S대학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22년 1학기에「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 강화 세미나」 교과를 개설하여 15주 동안 수업을 운영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집단면담 및 전문가 특강과 현장학습 진행 후 개별 후기, 수강 후 수강생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세계시민교육 수업을 통한 유아교사의 경험은 ‘나로부터의 변화와 실천’을 시작하기, ‘함께, 같이’의 중요성 인식하기, 다양성과 역지사지의 의미를 되새기기로 구분되었다. 이와 함께 본 수업을 통해 가지게 된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은 상호책임과 성장을 위한 필수 교육, 유아기부터 이루어져야 할 기본 교육, 좋은 세상 만들기 교육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은 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세계시민교육역량을 높이고자 하는 동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이나 고등 교육기관에서 현직 유아교사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 편성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유아교사가 세계시민교육을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원 연수 및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 학습 공동체 운영 등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교사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bout how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s changed through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classes and to explore GCE experience in teacher community activities.
Methods For this study, ‘A seminar to empower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d opened for 15 week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eminar was targeting 24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studying 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in the metropolitan area. All the data had been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ividual student reviews of a group interview, a field trip, a special lecture, and an open questionnaire made by previous students.
Result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class experience is divided into ‘Start to change from me first’, ‘Recognition of togetherness’, and ‘Reciting diversity and putting oneself in someone else’s shoes. The meaning of GCE has been defined in three sections through this study: essential training for growth and mutual responsibility; basic education, which needs to be taught since infancy; and education for making a better world.
Conclusion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arge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meaningful output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GCE and encouraging a global citizen mindset. Therefor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organize a lecture to reinfor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current and future children’s educator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plan from various perspectives so that children’s educators can keep practicing GCE in the education field, such as training teachers and running a teacher community for G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표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8호 목차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용절 교육 내용 연구
- 대학(원)생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활용 경험 사례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과 교육에 관한 언론보도 토픽 분석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ESG 인식 및 중요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
- 미술 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그릿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개선 연구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초등교사의 수업실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COVID-19로 인한 정신간호사의 코호트 격리 경험
- 싱가포르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탐색
- 동시대미술 기반 예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탐색
- 외국 교육과정 자료 및 공학 도구 사례 분석을 통한 사분위수 지도 방안 탐색
- 대학원 수업실행과 학술연구 분석에서의 ChatGPT 활용 사례연구
- 동시 텍스트를 활용한 국어과 중심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성인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의 매개효과
-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노인의 인터넷건강정보추구와 건강문해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분별력 개념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소 대안학교 졸업생의 학교 경험과 삶의 특성 이해
- 성격강점 활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위기감 및 자기자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탐색 연구
- 유아 기질의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이 취학 전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그릿 전문성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
- 낙상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반복 낙상 위험 요인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초⋅중학생 독서실행 영향 요인 탐색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 기업 HRD 관점에서 본 마이크로러닝의 실천적 정의 및 활용 특징 탐색
- Learner Agency: Multiple Case Studies of English Speaking Learning of English Majors in China
-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베 식문화 비교를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MZ세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인식
-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 초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정서표현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자체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과정 질적 사례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 품질 인식 수준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델파이를 활용한 고등학생 세계시민성 측정 도구 개발
- 성격강점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mpathy factors in Science Class (EfSC)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