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이용수 26

영문명
The Life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tend to have Neurotic Bulimia with Eating Shows: A Qualitative Case Study Incorporating A Biological Psychosocial Mod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영주(Lee Young J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8호, 281~3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경향성을 보이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먹방 시청 이전에서 이후에 이르는 과정과 그 이후의 양상에 대한 탐색과 함께 폭식과 보상행동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방법 Creswell(2013)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신경성 폭식증 경향성이 있는 20~30대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후, 면담자료를 생물심리사회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하여 생물학적-심리적-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그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결과 5개의 차원, 16개의 공통주제와 51개의 개별주제가 도출되었다. 생물학적 요인은 호르몬 변화, 유전적 요인, 약물진단 동반, 폭식 시 통증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요인 중 인지적 요인은 평소 인지 처리방식, 폭식 후 생각, 먹방 시청이 인지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요인은 평소 정서 처리방식, 폭식 후 정서, 먹방 시청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고, 행동적 요인은 평소 폭식 행동방식, 폭식 후 대처, 먹방 시청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은 과거력, 비수용적 가족환경, 폭식촉발 환경으로 나타났다. 결론 섭식장애를 위한 상담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탐색하여 섭식장애를 겪는 여성들을 위한 치료적 개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binge eating and compensatory behavior by exploring the process from before to after watching mukbang and its subsequent aspects target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tend to have Bulimia Nervosa. Methods Using Creswell's (2013)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tendencies toward bulimia nervosa. Afterwards, the interview data was divided into biological-psychological-social dimensions based on the biopsychosocial model and their experiences were examined. Results 5 dimensions, 16 common themes, and 51 individual themes were derived. Biological factors were hormonal changes, genetic factors, drug diagnosis, and pain during binge eating. Cognitive factors among psychological factors were the usual cognitive processing method, thoughts after binge eating, and the impact of watching mukbang on cognition, and emotional factors. The behavior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usual way of processing emotions, emotions after binge eating, and the effect of watching mukbang on emotions. Behavioral factors were shown to be the usual binge eating behavior, coping after binge eating, and the effect of watching mukbang on behavior. Social factors were related to past history. , it was found to be an unaccepting family environment and an environment that triggers binge eating. Conclusions By explor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ounseling for eating disorders, we seek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women suffering from eating disord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주(Lee Young Ju). (2024).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8), 281-307

MLA

이영주(Lee Young Ju).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8(2024): 281-3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